매일신문

ASF 1건 추가, 전국 확진 7건으로 늘어…경북도 올해 수렵장 운영 전면 취소

정부, 전국일시이동중지 명령 48시간 추가 연장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방역. 매일신문 DB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방역. 매일신문 DB

26일 인천 강화 양돈농가 1곳에서 추가 확진 사례가 나오는 등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의 기세가 쉽사리 꺾이지 않고 있다. 경상북도는 올해 북부권 시군을 중심으로 개장하려 했던 수렵장 운영 계획을 전면 취소하며 바이러스 확산에 대비하고 있다.

이날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날 인천 강화 삼산면 양돈농가 돼지 1마리를 정밀진단 검사한 결과 ASF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하나의 교량으로만 출입할 수 있는 석모도에 자리한 이 농가는 이미 폐업한 곳으로 남아 있던 돼지 2마리는 모두 살처분 됐다.

이로써 국내 ASF 확진은 강화 3건, 파주 2건, 연천 1건, 김포 1건 등 모두 7건으로 늘었다.

문제는 추가 확진 사례가 나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날 연천 1건, 양주 2건, 강화 2건 등 ASF 의심 농가가 추가로 접수돼 농식품부는 초동방역팀을 투입하고 가축·차량 이동통제, 소독 등 긴급방역을 했다.

또 24일 낮 12시를 기준으로 이날 낮 12시까지 48시간 동안 발령됐던 양돈농가, 축산차량, 도축장 등의 일시이동 중지를 48시간 연장해 28일 낮 12시까지로 했다.

경상북도는 ASF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최근 시군 담당자와 회의를 거쳐 올해 11월 28일부터 내년 2월 29일까지로 예정됐던 안동, 문경, 청송, 예천, 봉화, 영덕 등 북부권 수렵장 운영 계획을 전면 취소했다.

수렵장 운영 시 외부에서 엽사들이 들어오고 사냥개를 동반해 오는 경우가 많아 바이러스 확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경북도 관계자는 "오늘 확진된 1곳 및 의심 사례로 접수된 3곳 농가와 역학관계에 있는 도내 농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면서도 "바이러스 도내 유입 방지를 위해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