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국민 신뢰 바닥인데도 여전히 처신 잘못된 지방의원들

일부 지역 기초의원들이 특혜 등 비리 의혹을 받거나 의원 품위를 떨어뜨리는 행동과 발언으로 징계받는 사례가 늘고 있다. 단체 해외여행 가이드를 폭행해 예천군민 명예를 크게 손상시키며 국가적 비난거리가 된 예천군의회 사태도 모자라 몇몇 기초의원이 여전히 신분을 망각한 채 말썽의 중심에 서면서 지역사회의 큰 근심거리가 되고 있는 것이다. 또 의정활동을 명분삼아 문제가 될 처신을 일삼다 의회 안팎에서 마찰을 빚는 사례도 적지 않다.

구미시의회는 27일 본회의를 열어 윤리특위에 넘겨진 김택호(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제명 의결하고, 다른 3명의 의원에 대해 공개 사과나 경고 처분했다. 지방의회가 동료 의원을 무더기로 징계한 사례는 드문 일이다. 제명된 김 의원은 개인 사업체 비리 의혹에다 동료 의원에 대한 불법 감청, 공직자 비밀 누설 등 그릇된 처신으로 여러 차례 문제를 일으켜 결국 제명됐다. 이로써 지난해 23명으로 출범한 구미시의회는 2명이 비리 의혹 등으로 벌써 사퇴했고, 이번에 1명이 제명돼 재적의원 20명으로 쪼그라들었다.

비록 일부의 경우이나 주민 신뢰를 받아야할 기초의원들이 갖가지 말썽으로 오히려 지역사회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는 것은 그만큼 의원 자질에 문제가 있음을 말해준다. 집행부를 견제하고 주민 대표로서 본보기가 되어야 할 지방의원들이 되레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르는 것은 주민에 대한 예의도 아니고 유권자를 의식하지도 않는다는 말이다.

여기에다 의욕이 너무 앞선 나머지 앞뒤 가리지 않는 처신으로 의원들이 계속 물의를 일으키는 것은 볼썽사나운 일이다. 최근 대구 서구의회 사례에서 보듯 의원이 공무원을 상대로 도가 지나치게 질책하고 이를 SNS를 통해 외부에 공개하는 것은 명분을 떠나 이성적인 처신이라고 할 수 없다. 공직자라면 행동과 말에 앞서 문제가 될 소지는 없는지 먼저 짚어보고 신중해야 한다. 벌써 지방자치도 30년에 가깝다. 구설에만 오를 게 아니라 신뢰받는 지방의원 이미지를 키워야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