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단독] 경북도, 대폭 조직개편…일자리·지방소멸 극복 강화

일자리경제산업실→일자리경제실·과학산업국으로 분리…여성가족정책관실은 아이여성행복국으로 격상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상북도가 연말까지 일자리 경제와 신성장 산업, 저출생·지방소멸극복 업무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

경북도는 14일 '경상북도 행정기구 설치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및 경상북도 지방공무원 정원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입법예고하고 23일까지 의견 수렴에 들어갔다.

입법예고안에는 기존의 일자리경제산업실을 2개 국으로 분리해 일자리경제실과 과학산업국을 신설하는 내용이 담겼다. 그동안 1개 실에 과중된 업무를 2개 국으로 분산해 과학기술정책, 4차산업기반 등 신성장산업 업무 기능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의지다.

기존 여성가족정책관실은 4급 조직에서 3급 조직으로 격상해 아이여성행복국으로 탈바꿈한다. 여기에다 인구정책과, 아이세상지원과, 여성가족행복과 등 3개 과를 두고 저출생·지방소멸극복 업무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도내 각종 통계 등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빅데이터 업무를 전담하는 조직도 신설해 힘을 실을 작정이다.

유사 기능을 통폐합해 조직의 효율성도 높인다.

교육정책관실은 자치행정국으로 편입하고 대구 북구 산격동 옛 도청 청사에 남아있는 대구경북상생본부는 없애 기획조정실로 업무를 이관한다.

도는 대구에 조직을 두는 것보다 도청 기획조정실에서 상생업무를 추진해야 좀 더 효율적인 행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다. 기존 상생업무를 담당하던 대구경북한뿌리상생위원회는 변화가 없다.

경북도의회에는 예산분석을 전담할 조직이 신설돼 집행부 예산 편성 견제의 전문성을 강화한다.

경상북도공무원교육원은 경상북도인재개발원으로 명칭이 바뀐다. 앞으로 가칭 대구경북공무원교육원이 출범하면 다시 이름을 변경할 수도 있지만 당장은 인재개발원이 적합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경북도는 이번에 대폭 조직을 개편해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조직 인력 증원은 38명으로 최소화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2개 국이 신설되지만 최대한 기존 인력을 활용해서 증원을 최소화했다"면서 "유사 기능 조직은 통폐합해 효율적으로 조직개편을 한 게 특징이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