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에서 상위 1%의 평균소득이 하위 50%의 33.8배에 달하는 등 빈부격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재정적자를 이유로 사회구호 프로그램이 축소되는 것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브라질 정부 통계기관인 국립통계원(IBGE)은 16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부유층과 빈곤층의 소득 격차를 이같이 전하며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IBGE의 조사에서 상위 1%의 월평균 소득은 2만7천744헤알(약 789만5천 원), 하위 50%는 820헤알(약 23만3천 원)이었다.
지난해 부유층과 빈곤층의 소득 격차는 IBGE의 공식적인 조사가 시작된 지난 2012년 이래 가장 큰 폭이다. 2017년과 2018년을 비교하면 부유층의 소득은 8.4% 늘어난 반면 빈곤층의 소득은 3.2% 감소했다. 조사 책임자인 마리아 루시아 비에이라 연구원은 "최근 수년간 경제 침체에 따른 실업자 증가와 실질소득 감소 등이 빈곤층에 더 큰 부담을 안겼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재정위기에 따른 사회구호 프로그램 축소도 빈부격차의 주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빈곤층·극빈층에 생계비와 교육비를 지급하는 복지 프로그램인 '보우사 파밀리아(Bolsa Familia)'의 혜택을 받는 주민은 2012년 15.9%에서 2018년에는 13.7%로 줄었다.
브라질 정부는 내년 '보우사 파밀리아' 예산을 올해와 비슷하게 300억 헤알(약 8조5천400억 원)로 책정했으나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지 않아 실질적으로는 규모가 줄었다. 이 프로그램에 따라 빈곤·극빈층에 지급되는 생계비는 1가구당 평균 188.63헤알(약 5만4천800원)이며 지원 받는 가구는 올해 1천380만 가구에서 내년에는 1천320만 가구로 줄어든다.
보우사 파밀리아 축소 움직임에 대해 국제사회도 우려를 나타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세계은행(WB)는 보우사 파밀리아가 빈곤·극빈층을 위한 거의 유일한 공공 지출이라면서 브라질 정부에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김지석 선임기자·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