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가계의 '위험신호'…주담대 연체율·금액 증가일로

가계대출 연체율 2015~2017년 0.14~0.19%에서 올해 6월 0.28%로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잔액' 2015년 287억8천만원에서 올 6월 779억4천만원

대구의 주택담보대출 연체금액이 늘어나면서 가계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사진은 대구 시가지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의 주택담보대출 연체금액이 늘어나면서 가계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사진은 대구 시가지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지역 가계대출 연체율이 최근 들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개월 이상 연체한 금액이 갈수록 늘어나는 등 가계대출 부실 위험이 커졌다. 지역 내 아파트 분양 증가, 저금리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이 늘면서 관련 연체액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0일 주호영 국회의원(자유한국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국내은행 최근 5년간 대출별 연체 현황'에 따르면 2015년~2019년 6월 사이 대구의 가계자금대출금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구 가계대출 연체율(연말 기준)은 2015년 0.14%, 2016년 0.16%, 2017년 0.19%, 지난해 0.25%를 기록한데 이어 올해 6월 0.28%까지 올라갔다.

특히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이 2015년과 2016년 0.08%를 유지하다 2017년 0.13%로 0.05%포인트(p) 상승했다. 2018년에는 0.07%p 오른 0.20%였고, 올해 6월엔 0.21%를 나타냈다. 2016년 0.49%에서 2018년 0.44%로 낮아졌던 가계 신용대출 연체율 역시 올해 6월 0.52%로 상승했다.

연체 잔액 또한 급증했다. 대구 가계대출의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잔액'은 2015년 287억8천만원에서 해마다 늘어나 지난해 672억8천만원, 올해 6월 779억4천만원으로 껑충 뛰었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연체잔액이 2015년 117억9천만원에서 올해 6월 426억4천만원으로 262% 늘었다.

이는 지역 주택가격이 오르고 아파트 분양이 활성화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늘었고, 덩달아 부실한 채권과 연체액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 관계자는 "대구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다른 지역이나 기업대출과 비교할 때 크게 높은 편은 아니어서 당장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2017년부터 연체잔액이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는 만큼 대출심사를 엄격하게 하는 등 가계대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