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홍콩에서 칠레까지 시위현장마다 '조커'…"조커가 바로 우리"

영화 인기 타고 세계 곳곳서 등장…"연약하고 버려진 취약계층 대변"

지난 1일(현지시간) 칠레의 산타아고에서 열린 시위에서 한 참가자가
지난 1일(현지시간) 칠레의 산타아고에서 열린 시위에서 한 참가자가 '조커' 차림을 한 채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새하얀 얼굴에 입 주변을 새빨갛게 칠한 채 활짝 웃는 모습으로 보는 사람을 오싹하게 만드는 '조커' 분장이 세계 시위 현장의 중심에 섰다고 미국 CNN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레바논과 이라크 예술가들은 조커 캐릭터를 시위 포스터에 등장시키거나 소셜미디어에서 활용하고 있다. 칠레 산티아고에서는 누군가가 한 동상에 "우리 모두는 광대"라고 스프레이로 썼다. 홍콩에서는 시위자들이 집회에서 복면 착용을 금지한 정부에 대한 저항의 표시로 아예 영화 속 조커처럼 차려입기도 했다.

최근 개봉한 영화 '조커'는 배트맨의 숙적 조커를 확신에 찬 악당으로 그린 영화다.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분열되고 범죄가 만연한 1980년대 암울한 도시 고담시를 무대로 펼쳐진다. 호아킨 피닉스의 열연으로 화제를 모은 '조커'는 악당을 미화했다는 논란 속에 올해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대상인 황금사자상을 거머쥐었으며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레바논의 거리 예술가 무함마드 카바니는 "조커는 바로 우리들"이라며 "베이루트가 새로운 고담시"라고 말했다. 카바니는 "영화 '조커'에서 부유한 엘리트 계층과 보통 사람들 간에 펼쳐지는 권력 투쟁이 레바논 시위자들에게 반향을 일으켰다"며 "레바논 사회는 지금 약자와 극도로 좌절한 억압받는 자들로 가득차 있으며, 그들은 희망의 창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목할만한 것은 조커에 대한 해석이 열려있다는 점이다. 영국의 일부 반(反)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주의자들은 브렉시트를 찬성하는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를 조커에 빗대기도 한다고 CNN은 지적했다.

또 혼란 속 일부 지역에서 폭력과 방화, 파괴주의와 약탈이 벌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일부는 조커를 상징적으로 내세운 시위자들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리기도 한다. 이에 레바논의 카나비 같은 시위자들은 "내가 '거리를 접수하겠다'고 말할 때는 결코 폭력적으로 하겠다는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김지석 선임기자·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