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추진 중인 (가칭)경북과학산업기획평가원 설립 입지 용역 결과가 경북도지사 보고 및 결재 과정에서 뒤바뀌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이칠구 경북도의원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지원 전담기관 설립 기본계획 수립 및 타당성 연구' 용역 결과 경북과학산업기획평가원 입지 평가 순위가 포항, 구미, 경산, 안동 순으로 나왔지만 2순위인 구미가 최종 입지로 도지사에게 보고된 뒤 결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용역에서 포항의 경우 '포스텍, 포항나노융합기술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항가속기연구소, 한국로봇융합연구원, 포항테크노파크 등 관련 기관과의 협력 가능'이 강점이라는 결과가 나왔지만 도지사 보고 과정에서 '포스텍, 포항가속기연구소,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등 관련 기관과의 협력 가능'으로 축소된데다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은 아예 삭제됐다는 게 이 도의원의 주장이다.
2순위였던 구미는 '기초과학 인프라 부족, 지역 내 연계 가능한 R&D 관련 기관 다소 부족'이라는 용역 결과가 나왔음에도 '기초과학 인프라가 부족하다'로만 축소됐다는 것.
이 도의원은 "도지사 결재 과정에서 구미의 '기초과학 인프라 부족 문제는 올 하반기 이후 강소개발 특구 지정 추진으로 해소하면 된다'고 보고됐는가 하면, 용역 결과에도 없던 '구미전자정보기술원내 경북과학기술진흥센터 건물 활용으로 임차료 불필요', '경북도경제진흥원과 인접'이라는 강점이 추가됐다"고 주장했다.

또 이 과정에서 이번 용역 담당 공무원이 아닌 간부 공무원이 직접 용역업체 최고 책임자를 두 차례나 부른 것으로 알려져 용역에 영향을 끼치려고 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이 도의원은 "평가원 설립과 관련된 경북도의 담당 부서 과장이 구미 출신인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경북도의 사업은 정확한 용역 결과를 기반으로 공정하게 이뤄져야 하는 만큼 원점에서 다시 검토하고 객관적 기관에 새롭게 용역을 의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경북도 관계자는 "용역 결과는 포항이 1순위로 나왔지만, 이번 사업은 신규 독립기관이 아닌 다른 기관의 부설기관으로 설치해 사업 성과를 지켜본 뒤 독립 설립하는 방안으로 검토되다 출연기관이 있는 구미가 우선 순위가 됐다"며 "최종 결정은 경북도에서 하기 때문에 용역 순위와는 상관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경북도 과학산업기획평가원은 내년부터 2022년까지 건설비 및 운영비 등 설립 초기 79억여원을 투자하고, 설립 후 5년간 43억여원의 사업비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