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소경제 기회 잡자" 대구시 전담 부서·인력 확충 절실

21일 수소경제 혁신전략 정책포럼 열려…수소콤플렉스 대구 유치 필요성도 제기

21일 오후 대구 수성구 그랜드호텔에서 대구 수소경제 혁신전략 정책포럼이 열린 가운데 4건의 주제 발표에 이어 김종달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 사회로 토론회가 열렸다. 김윤기 기자
21일 오후 대구 수성구 그랜드호텔에서 대구 수소경제 혁신전략 정책포럼이 열린 가운데 4건의 주제 발표에 이어 김종달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 사회로 토론회가 열렸다. 김윤기 기자

정부의 '수소경제 로드맵'을 따라 대구시가 수소 산업을 육성하려면 전담 부서와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일 대구 그랜드호텔에서는 대구경북연구원 주관으로 '대구 수소경제 혁신전략 정책포럼'이 열렸다. 이날 포럼에는 국내 수소 전문가들이 대거 참석해 수소경제 활성화 및 생태계 조성에 관한 의견을 나눴다.

이날 '수소콤플렉스를 통한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을 주제 발표한 박진남 경일대 신재생에너지학부 교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것이 정부의 목표이고 투자도 많이 이뤄질 것"이라며 "내연기관에 집중된 대구시 차부품 사업도 이에 맞춰 전환하고 수소 생산 플랜트 유치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구시가 다른 지자체에 비해 수소에너지 전담 부서 및 인력이 부족하고 수소경제 담당 전문기관이 없다"면서 "대구테크노파크에 관련 조직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포럼에서는 한국가스공사가 추진 중인 수소콤플렉스 입지에 관한 논의도 오갔다. 수소콤플렉스는 수소에너지 관련 연구, 유통, 실증사업 등 수소산업 전반을 다루는 곳으로 가스공사가 공모를 통해 입지를 정할 예정이다.

이승호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혁신도시로 공기업들이 이전한 것은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하기 위한 것"이라며 "대구시는 정부가 수소 경제를 강조하기 전부터 유치를 준비해왔고 부지까지 이미 확보해 둔 상황"이라고 역설했다.

이에 대해 홍석주 한국가스공사 신성장사업처장은 "전국적으로 수소콤플렉스와 유사한 기능의 기관 설립이 중복 추진되고 있어 차별화 방안이 관건"이라며 "구축비용만 700억원, 연간 운영비는 70억원이 드는데 수익은 없는 사업이라 고민"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