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범 후 국내에서 개최되는 최대 규모의 국제회의인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및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가 25일 부산에서 막을 올린다.
이번 회의를 발판 삼아 평화·번영을 위한 아세안과의 협력관계를 한 단계 더 격상, 집권 중반 '신남방정책 2.0'을 본격화하는 동력으로 삼겠다는 것이 문재인 대통령의 구상이다.
정상 간 대화에 더해 민간기업들이 교류할 수 있는 장이 열리는 만큼 한국과 아세안의 경제협력이 한층 깊어지리라는 기대감도 나온다.
아울러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중대 국면을 맞이한 가운데, 한반도 평화에 대한 아세안 국가들의 지지를 끌어낸다는 점 역시 이번 정상회의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24일 하사날 볼키아 부르나이 국왕과 정상회담을 하고 ICT와 스마트시티 협력 강화에 대해 논의한 뒤 부산으로 이동해 3박4일 간의 일정에 돌입했다.
전날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와 회담한 데 이어, 이번 회의 참석을 위해 한국을 찾은 아세안 9개국 정상들과 모두 회담을 하기로 했다.
아울러 25∼26일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린 뒤에는 '한·아세안 공동비전'을 채택하기로 했고, 27일 열리는 한·메콩 정상회의 후에는 한국과 메콩강 유역 국가들의 협력방안을 정리한 '한강·메콩강 선언'을 채택할 계획이다.
한·필리핀 및 한·말레이시아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논의도 함께 진행된다.
이처럼 양자·다자회의를 넘나드는 외교전을 통해 한국과 아세안 국가들의 협력 단계를 주변 4강(미·중·일·러)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생각이다.
여기에는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강화 추세 속에 미·중 무역갈등 등 대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한국 경제가 새로운 성장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풍부한 시장 잠재력을 갖춘 아세안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연 5%대 성장률을 기록하는 아세안과의 교역 규모를 2020년까지 2천억달러로 늘리는 등 시장 다변화로 경제 활력을 불어 넣겠다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번 정상회의는 그동안 신남방정책의 중간결산을 넘어, 이후 문재인 정부의 외교정책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