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10명 중 1명은 수학 과목이 기초학력 수준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기본 내용을 이해하는 고등학생의 비율은 국·영·수 모두 지난해보다 줄었다.
교육부는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평가 대상으로는 지난 6월 중3, 고2 학생 총 81만1천754명의 약 3%에 해당하는 2만4천936명을 표집했다.
성취도는 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기초학력미달로 나뉜다. 보통학력이란 학생이 수업의 기본 내용을 상당부분 이해한 정도의 수준을 말한다. 기본 내용을 대부분 이해했다면 우수학력으로 분류한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고등학생의 과목별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국어 77.5%, 수학 65.5%, 영어 78.8%로 지난해보다 4.1%포인트(p), 4.9%p, 1.6%p 각각 감소했다.
중학생의 경우 국어 82.9%, 수학 61.3%, 영어 72.6%로 지난해보다 수학에서만 1.0%p 줄었다.
특히 중학생의 수학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11.8%로 국어(4.1%), 영어(3.3%) 등 다른 과목과 큰 차이를 보였다. 2017년 7.1%, 2018년 11.1% 등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성별로 보면 올해도 중·고교 모든 과목에서 여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남학생보다 적었다. 보통학력 이상 비율에서는 고교 수학만 남학생(66.8%)이 여학생(64.0%)보다 높았다.
학생들의 학교생활 행복도(심리 적응도·교육 만족도)는 중학생 64.4%, 고등학생 64.7%로 전년보다 각 1.7%p, 3.9%p 높아졌다.
지금 방식의 행복도 조사가 처음 이뤄진 2013년 결과와 비교하면 6년 만에 중학생은 20.8%p, 고등학생은 24.3%p 뛰었다.
교육부는 이번 평가 결과를 활용해 올해 3월 발표했던 '기초학력 지원 내실화 방안'을 계속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을 맞춤형으로 종합 지원하는 '두드림학교'를 올해 4천18곳에서 2022년 5천곳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