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2022년까지 세계 3대 화장품 수출국가 도약"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정부 화장품산업 육성방안 발표, 이총리 "짝퉁 화장품 강력 대처"

이낙연 국무총리가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는 우리나라가 2022년까지 '세계 3대 화장품 수출국가'로 도약해 연간 9조원 이상의 수출을 기록할 수 있도록 'K-뷰티' 화장품산업을 집중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5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러한 내용이 담긴 '미래 화장품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정부는 화장품 기초소재 및 신기술 연구개발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세계 수준 대비 86.8%에 불과한 국내 기술 수준을 2030년까지 95%로 높이고, 23.5%가량인 일본 원료수입 비중도 2022년까지 18%로 낮출 계획이다. 수입 의존도가 높은 계면활성제, 자외선차단소재 등 기초소재는 국산화하고 흰감국(미백작용)과 어리연꽃(노화방지) 등을 이용해 소재 국산화를 추진한다.

화장품 규제 영역도 개선한다. 업계의 요청이 많았던 제조자 표기 의무는 없앤다. 화장품에 제조원이 노출되다 보니 해외 경쟁사가 직접 제조사와 계약해 중소 브랜드가 피해를 보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개인별 피부 진단을 통해 고객 맞춤형으로 화장품을 제조하는 맞춤형화장품 제도도 내년 3월 세계 최초로 시행한다.

정부는 짝퉁 제품을 만들어 파는 지식재산권 침해 행위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화장품 생산, 신기술 연구개발, 뷰티서비스를 포함한 전문교육, 중소기업 컨설팅 등이 한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K-뷰티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정부는 육성방안이 실시되면 국내 세계 100대 화장품 기업은 4개에서 7개로, 매출 50억원 이상 기업은 150개에서 276개로 늘어나고, 신규 일자리는 7만3천 개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이날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짝퉁은 우리 제품의 브랜드 가치를 훼손하고 우리 기업의 사기를 꺾는다"며 "민관 합동 대응 체계를 갖춰 강력히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