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실의 한 고위공직자는 요즈음 총리 인선과 관련한 문의 전화에 시달리고 있다. 기자들의 취재 전화가 아니다. 정부 부처 관계자들의 탐문이 잦아지면서 통화를 피하고 싶을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세밑 정부세종청사가 어수선하다. 차기 국무총리 인선을 둘러싼 갈팡질팡 행보에 개각 및 고위공직자의 총선 차출설이 끊이지 않자 공무원들이 일손을 잡지 못하고 있다.
이낙연 총리는 지난 7월 14일 공개된 자리에서 "여전히 제 심장은 정치인"이라고 언급, 추석 전 당 복귀론이 나오는 등 진작부터 교체가 기정사실화돼 왔다.
10월부터는 정세균 전 국회의장을 필두로 더불어민주당 원혜영·김진표 의원 등의 이름이 유력하게 거론됐다. 김 의원 쪽으로 가닥이 잡혔으나 고사한 뒤엔 청와대가 정 전 의장에 대해 검증에 들어갔다는 얘기가 들린다. 한편에선 이 총리 유임론도 재부상하고 있다. '청문회 리스크'를 감안해 2월 교체 뒤 비례대표로 총선을 지휘하면 된다는 논리다. 또 다른 곳에선 '뉴페이스 검토설'도 오르내린다.
이뿐이 아니다. 개각은 잠시 수면 아래 가라앉은 듯 하지만 정치인 출신인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 등이 언제든 출사표를 던질 수 있다.
정통관료 출신의 총선 차출설은 현재진행형이다. 대표적인 게 기획재정부 장·차관 동시 동원론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구윤철 2차관의 경우 본인 의지와 관계없이 출마설이 숙지지 않고 있다. 동시 교체 시 정책 추진에 흐름이 끊기면서 '경제 리스크'가 커진다는 목소리가 있지만 공직자들의 속내는 후속 인사에 쏠려 있다. 여기에다 성윤모 산업자원통산부 장관과 조명래 환경부 장관의 출마설도 잊을만 하면 흘러 나오면서 세종 관가는 술렁이는 분위기다.
차기 총리의 경우 검증에 속도를 내더라도 임명동의안 국회 제출 뒤 20일 이내 본회의 처리를 규정하고 있어 한 달 가까운 시일이 필요하다. 관료들의 거취는 총선의 공직자사퇴시한(내년 1월 16일)이 돼야 안개가 걷힌다. 청사 공직자들이 1개월 가까이 일에 집중하기 어려운 분위기라는 얘기다.
이와 관련, 한 공무원은 "총리를 시작으로 유례없는 대규모 인사가 있을 수 있는 데 어수선하지 않겠느냐"고 되물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