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낙동강 보 주변 양수장 시설개선 시행계획 승인…단, 설계까지만 허용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한국농어촌공사 운영 양수장 33개소 시설개선 승인신청 이달 3일 접수…경북도 16일 최종 승인

낙동강 경북 의성 생송양수장 취수구의 모습. 매일신문 DB
낙동강 경북 의성 생송양수장 취수구의 모습. 매일신문 DB

낙동강 보 개방 찬성으로 비쳐질까봐 한국농어촌공사의 양수장 공사 승인을 보류(매일신문 7월 29일 자 8면)했던 경상북도가 시설개선 시행계획 신청을 받아주기로 했다.

단, 시설개선 설계까지만 허용하고 실제 착공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다시 경북도의 승인을 받도록 조건을 달았다.

경북도는 한국농어촌공사가 이달 3일 신청한 낙동강 경북지역 수계 양수장 시설개선 시행계획을 16일 승인했다고 밝혔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상주보와 낙단보, 구미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등 낙동강 경북지역 보 인근 수계에서 양수장 33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다 낙동강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취수가 가능하도록 추가 수로와 수조, 수중펌프 등을 설치하겠다는 게 한국농어촌공사의 계획이다.

33개소 전체의 시설 개선에는 266억4천100만원이 들고 설계에는 8억9천만원이 필요할 것으로 봤다.

이는 문재인 정부가 2017년 4대강 보 상시개방 방침을 밝히고 보 개방에 따른 수위 저하로 양수장 취수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의 후속조치다.

이와 관련, 농어촌정비법에 따라 양수장 시설개선을 추진 중인 한국농어촌공사는 사업시행을 위해 경북도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앞서 지난 7월 한 차례 경북도의 승인을 받기 위해 협의했으나 이를 승인했을 경우 '낙동강 보 개방 찬성'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 도는 결정을 미뤘다.

낙동강 경북지역 수계 주변 시·군 역시 보 개방에 반대하는 농민 목소리 등을 이유로 시·군이 운영하는 양수장 시설개선에 나서지 않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한 판단이었다.

하지만 사업시행계획 승인이 해를 넘기면 한국농어촌공사가 확보한 수백억원의 국비 예산이 불용처리되는 점과 설계를 해두면 가뭄 등 천재지변에 따른 낙동강 수위 저하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해 이번에 신청을 승인한 것이다.

다만 경북도는 설계 단계까지만 승인하는 것으로 선을 그었다. 착공 여부는 차후 정부가 낙동강 보 처리 방향을 확정하면 다시 협의하기로 했으며 만약 정부가 '미개방' 결정을 내릴 경우 착공없이 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향후 양수장 시설개선 착공을 위한 한국농어촌공사의 협의가 들어오면 농민 등 도민의 여론을 충분히 수렴해 승인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시행계획 승인을 혹여라도 보 개방 찬성으로 오해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