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신청사, 달서구] '동갑내기' 대구와 인천, '신청사 추진史'

현 인천시청. 매일신문DB
현 인천시청. 매일신문DB

22일 대구가 시청 신청사 건립 예정지를 확정하면서, 대구와 비슷하게 신청사 문제로 골머리를 앓으며 연일 갈등이 확산일로에 있는 인천의 사례가 비교되고 있다.

대구와 인천은 1981년 함께 직할시로 승격한 뒤, 1995년 광역시로 승격되는 등 대한민국 대도시로서는 '동갑내기'라고 할 수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비슷한 모습으로 성장했다는 방증이다.

첫 신청사 이전은 인천이 앞섰다. 1985년 새 청사를 지어 원래의 인천항 인근 중구 인현동에서 남동구 구월동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이보다 8년이나 늦은 1993년 대구시는 현재의 위치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이후 건물이 노후화하고 행정 수요 증가로 부서가 늘어나 공간 부족 문제가 불거지면서 대구와 인천 둘 다 두 번째 신청사 건립을 추진하게 됐다.

15년간 신청사 이전 부지를 확정하지 못했던 대구시는 '공론화'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유치를 원하는 각 구·군의 신청을 받아 주민 의견을 수렴해 결국 달서구로 건립 예정지를 확정한 것.

반면 인천은 막대한 재정 부담에 논란만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인천은 애초 시청 청사 바로 인근에 신청사를 건립하고, 재개발 단지인 루원시티(인천 서구 소재)에 제2청사를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막대한 재정 투입이 부담되자 신청사를 백지화하고 제2청사만 건립하기로 방향을 틀었는데, 시장이 바뀌면서 또다시 계획이 변경돼 제2청사 부지에 규모를 축소한 복합청사 건립안이 제시됐다.

인천은 신청사 건립 계획이 계속 변경되는데다, 갈수록 규모마저 줄어들자 주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대구의 '신청사 리스크'는 청산 절차를 밟게 된 반면, 인천은 현재진행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