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시내 근린공원, 체육시설 등에 '에코프리존' (Eco Free Zone) 20곳을 설치, 25일부터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제공에 들어갔다.
시민들의 통신비 부담을 일부라도 해소하는 차원에서 시작한 서비스로, 올해 1월 자가통신망 완료 이후 첫 번째 통신 복지 사업이다.
'에코프리존'은 유선망(자가통신망)에 무선망(와이파이, IoT)을 결합한 통신 서비스로, 해당 지역의 미세먼지·초미세먼지·온도·습도·소음·산소포화도 등 총 6가지 환경정보까지 제공한다. 스마트폰 메인 접속화면에서 시정소식도 확인할 수 있다.
대구시는 근린공원, 체육시설 등 시민생활 밀착지역을 대상으로 구·군 신청을 접수한데 이어 현장 실사를 거쳐 중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각 5곳씩 20곳을 대상지로 선정했다.
선정 장소에 무선에이피(AP) 및 환경 센서 등을 설치해 25일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에코프리존' 은 일반적인 와이파이 서비스와 똑같이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지역에서 스마트폰의 와이파이 신호 중 '에코프리존'을 선택해 연결하면 된다.
대구시는 앞으로 4개 구를 제외한 나머지 구·군에도 '에코프리존'을 확대·설치할 계획이다.
진광식 대구시 자치행정국장은 "대구시가 시민들의 통신비 절감에 도움이 되는 '에코프리존' 서비스를 더욱 확대하는 등 새로운 서비스 발굴에도 힘쓸 것"이라며 "스마트 도시로서의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통신 복지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