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당, 비례정당 창당설에 "누가 가나" 두고 뒤숭숭

비례정당 등록 실무작업 마쳐, 창당준비위원회 발기인 동의서 서명받아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27일 오후 국회 본회의가 열리기에 앞서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27일 오후 국회 본회의가 열리기에 앞서 '연동형비례대표제' 선거법 반대 현수막을 펼치고 의장석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연합뉴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선거법 개정안이 '4+1'(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평화당+대안신당) 공조로 통과된 후 위성정당 창당을 놓고 자유한국당이 뒤숭숭한 모습이다.

당 일각에서는 '원내 3당' 지위를 목표로 한국당 의원 30여명이 대거 이동해 비례정당을 창당하지 않겠느냐는 전망까지 나온다.

30일 한국당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비례정당을 등록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작업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주에는 당명을 공란으로 둔 채 창당준비위원회 발기인 동의서에 서명도 받았다.

한국당은 비례정당이 한국당의 위성정당이라는 것을 유권자들이 직관적으로 알아챌 수 있도록 당명을 준비하고 있다.

현행 정당법상 발기인 동의서를 받은 뒤 선관위 등록을 하면 1천명 이상 당원을 확보해 5개 시·도당에서 창당대회를 열어야 한다.

문제는 한국당 내에서 누가 비례정당으로 이동할 지다.

바뀐 선거법에 따른 의석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위성정당을 만들어야 한다는 공감대는 당내에 형성돼 있다.

하지만 정작 비례정당으로 이동하는 개별 의원들 입장에서는 지역구를 포기해야 하는 부담을 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비례대표 의원들 중 일부가 비례정당으로 이동할 것이란 말까지 나오자 반발 기류도 감지된다.

논란을 의식한 듯 당 지도부는 비례정당 창당과 관련한 정보를 발설하지 말라는 '함구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선 황교안 대표가 직접 비례정당의 대표를 맡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공식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는 게 당의 입장이다.

황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비례한국당에 대해선 여러 가지 검토를 하고 있다. 그 정도까지만 (밝히겠다)"며 말을 아꼈다.

전희경 대변인도 기자들과 만나 "날치기 선거법 통과 후 국민의 목소리가 소수로 전락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대표적인 것이 자매정당인 비례대표 자유한국당"이라며 "방법론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인데 이 과정에서의 여러 검토를 언론에 말씀드릴 단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