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중국인 유학생 대거 복귀…방역 구멍 뚫리지 않도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신종코로나)' 확산 방지가 고비를 맞고 있는 가운데 대학교, 초·중·고교, 유치원의 개학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신종코로나 발생 시기와 잠복 기간을 감안하면 지금이 방역에 가장 중요한 분수령인데, 하필이면 개학 시기와 맞물렸다. 특히 이달 중에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거 복귀가 예정돼 있는 점은 큰 걱정거리다. 정부는 물론이고 교육 당국과 지방자치단체의 유기적 방역 시스템 강화 구축이 다급해졌다.

개학을 하면 학생들이 폐쇄된 공간에 모이게 되고 그만큼 방역 난이도는 더 높아질 수밖에 없다. 졸업식,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등 학사 일정을 취소하거나 간소화한 곳이 여럿일 정도로 교육기관마다 비상이 걸렸다. 졸업식이나 입학 관련 행사야 취소 내지 간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수업을 하릴없이 늦추기도 어려운 노릇이다.

특히 내달 개학을 앞두고 국내 대학에 복귀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이 어학연수생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7만 명이나 된다는 점은 여간 신경 쓰이지 않는다. 정부가 후베이 지역에 머무른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했지만 후베이 지역 외 감염 확진자가 40%나 되는 등 이미 중국에서의 감염자 발생이 전국화된 마당이다. 후베이 지역 이외의 중국인 유학생들이 대거 몰려들어 올 때 공항과 항만의 검역 시스템이 완벽히 작동할 수 있을는지 의문이다.

대구경북에서도 대학교들이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연수 과정을 휴강하거나 기숙사 2주간 격리 등 나름대로 대책을 세우고는 있다. 하지만 방역 전문기관이 아닌 이상 구조적으로 많은 한계점을 지닐 수밖에 없다. 보건 당국과 교육청, 지자체의 유기적 지원협조체제가 절실하지만, 대구시의 경우 대구 소재 대학에 복귀하는 중국인 유학생 수가 모두 몇 명인지 아직 파악조차 못한 상태다. 이러면 시민들이 불안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정부 당국과 지자체, 대학은 개학 시즌과 중국인 유학생 복귀에 따른 방역 시스템 구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