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황교안 "탈당한 무소속 출마자 복당 영구불허"

'박빙 승부' 수도권, 보수분열 위기의식, 텃밭 무소속 돌풍도 의식한 듯
홍준표·김태호 등 차기 대권경쟁자 견제용 분석도

미래통합당 황교안 대표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황교안 대표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미래통합당 대표가 30일 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4·15 총선에 출마하는 후보에 대한 강력한 징계의사를 밝히자 벌써 차기 대권 경쟁자 견제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격전지에서 통합당 후보와 보수성향 무소속 후보로 보수진영의 지지세가 분산돼 간발의 차이로 여당 후보에 패배하는 상황을 막겠다는 취지지만 속셈은 공천과정에 불복해 뛰쳐나간 차기 대권주자들을 견제하기 위한 사전포석이 아니냐는 반발이다.

정치권에선 차기 대통령선거를 겨냥하고 있는 보수당 대표가 4·15 총선 후 이어질 대선국면을 준비할 수는 있지만, 보수진영 전체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방식은 곤란하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황 대표는 이날 오전 진행된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무소속 출마는 국민 명령을 거스르고 문재인 정권을 돕는 해당행위이기 때문에 국민 명령에 불복한 무소속 출마에 강력히 대응할 수밖에 없다"며 "당헌·당규를 개정해서라도 영구입당 불허 등의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무소속을 돕는 당원들도 해당행위로 중징계를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최대 격전지인 수도권은 물론 대구경북 등 당의 강세지역에서도 통합당을 탈당한 무소속 후보의 선전으로 판이 흔들리자 대응에 나선 것이다.

특히 정치권에선 황 대표가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와 김태호 전 경남지사 등 잠재적인 대권경쟁자들의 복당을 막기 위해 견제에 돌입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4·15 총선 결과가 여의치 않을 경우 당내에서 대선후보 교체론이 나올 수밖에 없고 그때 대안이 될 수 있는 인사들의 복당 논의의 싹을 뽑으려는 의도라는 진단이다.

통합당 관계자는 "차기 대선을 준비하고 있는 당 대표가 당 밖에 있는 잠재적 대선경쟁자들을 견제하기 위한 사전포석일 가능성이 크다"며 "보수진영 전체로 보면 보수당 대표가 대권주자 자원을 인위적으로 줄이는 결과가 돼 또다시 보수분열을 야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대선은 총선 수준을 뛰어넘는 진영 간 총력전이 불가피한데 벌써 보수진영 내 편 가르기는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에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는 이날 황 대표 발언에 대해 "말도 안 된다. 총선이 끝나면 황이 물러나야 한다. 당헌·당규를 바꾸려면 전국위원회를 열어야 하는 데 지금 열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며 "황 대표는 정치가 뭔지 하나도 모른다. 주호영은 바른정당하고 탄핵 찬성하고도 복당되지 않았나. 유승민도 복당되지 않았나"라고 반박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