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월 예정됐던 대구시의 '하수 찌꺼기(슬러지) 건조 연료화 사업' 준공이 또 다시 미뤄졌다. 예상했던 것보다 낮은 수분 함량으로 덩어리가 형성되는 찌꺼기 뭉침 현상이 발생, 설비를 다시 설계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앞서 올 초에도 높은 '황(黃)' 성분 탓에 준공이 연기됐다.
대구시는 2018년 3월부터 하수처리장에서 나온 하수 찌꺼기를 화력발전소 연료로 바꾸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484억원의 민간투자로 이뤄지는 이 사업은 '서부 건조 연료화 시설'(하루 용량 115t)과 '신천 건조 연료화 시설'(230t)로 조성 중이다.
그러나 시는 최근 사업의 마무리 기한을 3월 27일에서 5개월 연기한 8월 27일로 수정했다. 시설 내 찌꺼기 이송에 문제가 발생해서다.
문제의 핵심은 저장조 안의 하수 찌꺼기가 덩어리째 뭉친다는 것이다. 컨베이어벨트로 찌꺼기를 옮겨 건조화 처리를 해야 하는데, 반입구가 찌꺼기 덩어리로 막히는 '병목현상'이 생겼다.
이는 찌꺼기 내 수분 비율인 '함수율(含水率)'이 원인으로 드러났다. 현재 시공한 설비는 함수율 83%에 맞춰져 있는데, 대구 하수 찌꺼기의 함수율은 63%로 낮아 찌꺼기가 뭉친다는 것이다.
시는 준공이 5개월 늦춰짐에 따라 약 3만7천500t 분량의 하수 찌꺼기를 민간위탁처리업체에 맡기게 됐다. 이로 인해 찌꺼기 처리수수료와 사업비 등 약 17억8천만원의 추가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다. 시는 사업자의 잘못된 설비 시공으로 사업 기간이 연장된 만큼 이로 인한 비용을 사업자가 부담하도록 할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구의 하수 찌꺼기는 수분을 줄이고자 과거에 설치한 건조고화시설로 인해 함수율이 낮은 편인데, 이를 고려하지 않고 설비를 시공한 것이 문제였다"며 "재설계와 시설보완을 통해 사업 준공을 최대한 당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