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은 더불어민주당의 압승과 미래통합당의 참패로 결말이 났다. 가장 결정적인 원인은 코로나 사태였다. 코로나가 선거 이슈를 덮어버리면서 통합당이 이번 총선의 키워드로 잡았던 '정권심판론'은 전혀 힘을 쓰지 못했다.
민주당은 이런 상황을 파고들었다. 코로나 국가 위기론을 내세우며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안정적 의석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선거 결과는 이게 먹혔음을 말해준다. 선거 직전 범여권에서 '180석 압승론'이 나오자 통합당은 "개헌 저지선(100석)도 위험하다"며 거여(巨與) 견제까지 읍소했지만 민심을 잡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렇게 된 데는 '심판론'에만 기댄 통합당의 전략 부재도 한몫했다. 국민이 문재인 정권 3년의 실정을 심판해줄 것이라고만 여겼을 뿐 '심판 민심'을 표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술도 의지도 없었다. 문 정권의 실정에 따른 반사이익 이삭줍기에만 목을 매고 있었던 것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의 시발점이었던 20대 총선 공천 못지않은 공천 파동의 재연 배경에는 그런 안이함이 자리 잡고 있었다.
물론 코로나 사태라는 한계가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런 객관적 여건이 참패의 이유가 될 수 없다. 객관적 여건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면 선거운동을 할 필요가 없다. 선거는 객관적 불리를 극복하고 유리한 결과를 끌어내는 주체의 노력이 승패를 결정한다. 통합당은 여기서 실패했다.
이는 통합당이 그동안 내세웠던 '혁신'은 말잔치였을 뿐 여전히 '웰빙 체질'을 벗지 못했음을 말해준다. 통합당의 패배는 통합당을 넘어 보수세력 전체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다. 황교안 대표를 필두로 통합당은 이에 통절히 책임져야 한다. 말 그대로 뼛속부터 바꿔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미래는 없다.
그래야 하는 이유는 또 있다. 바로 문 정권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해서다. 총선 승리로 문 정권은 나라를 피폐하게 만든 지난 3년간의 잘못된 정책에 더한층 드라이브를 걸 것이다. 이를 막지 못하면 나라의 미래는 암울할 수밖에 없다. 선거에 졌지만 통합당의 책임은 그 어느 때보다 무겁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매일신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