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일자리 지키기’ 文대통령은 말 아닌 성과로 보여줘야

문재인 대통령이 제60주년 4·19혁명 기념식에서 "우리는 바이러스뿐 아니라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경제위기 상황을 함께 이겨내야 한다"고 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충격을 두고 문 대통령이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이후 최악이라고 규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에게 닥쳐온 경제위기가 유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엄중하다는 뜻이다.

최악의 경제위기를 이기는 핵심으로 문 대통령이 일자리 지키기를 꼽은 것은 시의적절하다. 코로나 사태에 따른 일자리 감소를 어느 정도는 예상했지만 실제 드러난 결과가 매우 참혹하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11년 만에 최대인 19만5천 명 감소했고 체감실업률은 14.4%로 역대 최고였다. 일시휴직자는 한 달 새 126만 명 폭증한 160만7천 명으로 1983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였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도 236만6천 명으로 응답 인구·증가 폭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문 대통령이 지적한 것처럼 일자리를 지키려면 노·사가 함께 머리를 맞대 협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와 함께 노·사 합의를 통해 고용을 유지하는 기업을 지원하는 정부 역할도 필수적이다. 문 대통령이 이번 주 주재할 5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정부가 고용 유지를 위해 어떤 대책을 내놓을지에 관심을 두는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 대통령 직속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을 통한 노·사·정 대화로 일자리 지키기 방안을 모색할 필요도 있다.

IMF 위기 때 상당수 국민이 일자리를 잃고 자신은 물론 가족의 삶이 무너진 아픈 경험이 있다. 이번 코로나 경제위기에선 노·사·정이 연대하고 협력해 실업대란을 막아 외환위기 때의 아픔과 악몽을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 문 대통령과 정부는 말만 앞세운 지금까지의 행태를 버리고 실효적인 일자리 지키기 대책으로 경제 약자들의 삶을 보호하기 바란다. 고용 유지 대책을 비롯해 긴급 일자리 대책, 사각지대 근로자 안정 대책 등을 통해 실제로 성과를 보여줘 총선에서 표를 몰아준 데 대해 부응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