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에서 참패한 미래통합당에서 '40대 기수론'이 제기되고 있다. 젊은 정치인들이 제대로 된 혁신을 이끌어내야만 보수진영 최악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인식이다.
통합당의 비상대책위원장으로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김종인 전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1970년대 후반에 태어난, 혁신할 수 있는 자질을 가진 사람이 튀어나왔으면 좋겠다"며 당 쇄신을 위해 필요한 인물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김 전 위원장이 보수진영에 젊은 정치인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12월에도 한 TV프로그램에 출연해 "유권자가 집권 세력은 별로 업적이 없으니 표를 주기는 싫은데, 막상 자유한국당에 표를 주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 않은 것 같다"며 당시 여권에도 야권에도 치우치지 않은 표심을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우리도 국민 요구에 맞는 소위 '새로운 정치세력'이 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지 않나"며 "(새로운 정치세력에는) 1970년대 이후 출생자들이 주로 참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전 위원장이 언급한 1970년대 이후 출생자는 51세(1970년생) 이하다. 1970년대 후반을 기준으로 보면 46살에서 42살 사이 정도다.
이번 총선의 통합당 당선자 중에서 살펴보면 70년대 후반 출생자는 ▷김형동 경북 안동예천 당선자(75년생) ▷정희용 경북 고령성주칠곡 당선자(76년생) ▷황보승희 부산 중영도 당선자(76년생) ▷김병욱 경북 포항남울릉 당선자(77년생) 등이 있다.
70년대이후 출생자까지 살펴보면 ▷김웅 서울 송파갑 당선자(70년생) ▷배준영 인천 중강화옹진 당선자(70년생) ▷김은혜 경기 성남분당갑 당선자(71년생) ▷강민국 경남 진주을 당선자(71년생) ▷전봉민 부산 수영 당선자(72년생) ▷김성원 경기 동두천연천 당선자(73년생) 등도 포함된다.
비례 대표 중에서는 ▷이종성(70년생) ▷조수진(72년생) ▷이용(78년생) 등이 70년대생이다.
더 젊은 '30대 기수론'도 일각에서는 나오고 있다.
김세연 통합당 의원은 2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이미 산업화와 민주화라는 두 개의 패러다임이 거대하게 작동하던 것은 수명을 다 했다고 생각한다"며 "'830세대'로 세대교체가 필요하다"고 했다.
'830세대'는 1980년대생, 30대, 00학번 세대를 의미한다.
김 의원은 "830세대에서 통합당과 함께 사회 전반적으로 주도권을 새롭게 형성하고 여러 영역에서 빠른 세대교체가 현재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전 위원장이 '70년대 후반' 기수론을 언급한데 대해 "40대도 노쇠했다"고 했다.
30대 당선자는 비례대표 중에서는 지성호(82년생), 김예지(80년생) 등이 있고, 배현진 서울 송파을 당선자(83년생)도 30대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