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통합당, '비대위 체제'로 전환…위원장은 김종인 내정

'무기한·전권' 비대위 전망…당선인 총회에서 지도체제 결정하자는 목소리도
공천권 없는 비대위가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

미래통합당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미래통합당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지도체제' 전수조사 결과 '김종인 비대위 체제'로 결론났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이 4·15총선 참패 수습을 위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당을 꾸리고, 비대위원장에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내정했다.

심재철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은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 직후 기자들을 만나 "어제 20대 국회의원과 21대 국회 당선인 140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취합한 결과 김종인 비대위에 다수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제 전국위원회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다음주 초 쯤 준비되는 대로 절차를 거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한다면 활동 기한을 정하지 않고 전권을 가진 비대위 체제를 운영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오전 김 위원장은 CBS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조기 전당대회가 전제된다면 비대위원장을 할 수가 없다"며 사실상 '무기한·전권'을 비대위원장 수락 조건으로 제시했다.

심 원대대표는 김 위원장이 수락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받아들일 것으로 생각한다"며 "김 위원장과 통화를 해 보겠다. 언론 통해서 입장을 봤기에 어떤 생각인지 직접 들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다만 '김종인 비대위' 앞에는 난제가 산적해있다.

우선 김종인 비대위라는 결론을 내게된 당내 설문조사에 낙선자들도 참여했다는 점이다. 이번 총선 당선자들 중에서는 당선인 총회를 통해 향후 지도체제를 결정하자는 목소리도 있다.

또 설문조사 결과도 김종인 비대위 찬성이 43%, 조기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의견이 31%로 집계돼 압도적 찬성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권 등 실질적 무기가 없는 비대위가 당 혁신을 이뤄낼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일가에서 나온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