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은 22일 4.15 총선 참패를 수습을 위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고, 위원장에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영입하기로 했다. 전날 당의 진로에 대해 소속 의원과 21대 총선 당선인 140명에게 전화로 의견을 물어본 결과 다수가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찬성했다는 설명이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직을 수락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심재철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어제 20대 국회의원과 21대 국회 당선인 142명 중 연락 안되는 두 분을 제외한 140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취합한 결과 '김종인 비대위'에 다수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다만 찬성 비율은 함구했다.
심 권한대행은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을 맡기로 수락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받아들일 것으로 생각한다"며 "조만간 뵐 것"이라고 했다. 이어 "(비대위 체제 전환을 위해) 상임 전국위원회를 거쳐야 하는데 실무적인 준비, 현장 상황 등을 정리해야 하니 다음 주 초쯤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김종인 비대위 체제 기간과 조기 전당대회에 대한 질문에 "통화를 해보겠다"며 "내가 직접 들은 것이 아니라 언론을 통해 들은 것이라 어떻게 생각하는지 직접 말씀을 들어볼 생각"이라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은 여러 차례 언론을 통해 연말까지 임기 보장을 요구하며, 조기 전당대회를 거부했다. 이날도 김 전 위원장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비대위원장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대선을 치르는 토대를 만들 때까지 전권을 달라고 요구했다. 사실상 '무기한·전권'을 수락 조건으로 제시한 것. 또 7월로 예정된 전당대회에 대해서도 "언제 하는지 박아놓고 가지 말아야 한다"면서 미뤄야 한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하더라도 '김종인 비대위'는 출항부터 암초를 맞닥드릴 공산이 크다. 우선 김 전 위원장이 이번 총선을 이끌었던 만큼 '지역구 84석'이라는 역대급 패배를 가져온 '패장'이다.
인명진 전 새누리당(지금의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번에 비대위원장이 또 누가 나오면 여덟 번째가 된다"며 "결국 자기들의 위기, 자기들이 잘못한 것, 이런 걸 누구 희생양을 데려다 덮어씌워서 위기를 모면하고 넘어가려고 하는 일시적 방편"이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당내 설문조사에 낙선자를 비롯한 20대 국회의원이 포함됐다는 점도 논란이다. 이번 총선 당선자 중 일부는 당선인 총회를 요구하고 있는데 낙선자들을 제외하고 당선인 총회에서 당의 향후 지도체제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5선에 성공한 정진석 의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지금 이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당선자 대회의 개최, 새 원내대표(당 대표 권한대행)의 선출"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총선 민의, 국민의 주권을 새로 받아 안은 것은 103명의 당선자들"이라며 "이들이 위기 탈출을 논의하는 주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