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종인 비대위 체제' 가닥…金 수락 여부는 불투명

통합당 현역·당선인 140명 전수조사
다음 주부터 실무 절차에 돌입

미래통합당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미래통합당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지도체제' 전수조사 결과 '김종인 비대위 체제'로 결론났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은 22일 4.15 총선 참패를 수습을 위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고, 위원장에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영입하기로 했다. 전날 당의 진로에 대해 소속 의원과 21대 총선 당선인 140명에게 전화로 의견을 물어본 결과 다수가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찬성했다는 설명이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직을 수락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심재철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 종료 후 기자들과 만나 "어제 20대 국회의원과 21대 국회 당선인 142명 중 연락 안되는 두 분을 제외한 140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취합한 결과 '김종인 비대위'에 다수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다만 찬성 비율은 함구했다.

심 권한대행은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을 맡기로 수락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받아들일 것으로 생각한다"며 "조만간 뵐 것"이라고 했다. 이어 "(비대위 체제 전환을 위해) 상임 전국위원회를 거쳐야 하는데 실무적인 준비, 현장 상황 등을 정리해야 하니 다음 주 초쯤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 김종인 비대위 체제 기간과 조기 전당대회에 대한 질문에 "통화를 해보겠다"며 "내가 직접 들은 것이 아니라 언론을 통해 들은 것이라 어떻게 생각하는지 직접 말씀을 들어볼 생각"이라고 했다.

김 전 위원장은 여러 차례 언론을 통해 연말까지 임기 보장을 요구하며, 조기 전당대회를 거부했다. 이날도 김 전 위원장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비대위원장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대선을 치르는 토대를 만들 때까지 전권을 달라고 요구했다. 사실상 '무기한·전권'을 수락 조건으로 제시한 것. 또 7월로 예정된 전당대회에 대해서도 "언제 하는지 박아놓고 가지 말아야 한다"면서 미뤄야 한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하더라도 '김종인 비대위'는 출항부터 암초를 맞닥드릴 공산이 크다. 우선 김 전 위원장이 이번 총선을 이끌었던 만큼 '지역구 84석'이라는 역대급 패배를 가져온 '패장'이다.

인명진 전 새누리당(지금의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번에 비대위원장이 또 누가 나오면 여덟 번째가 된다"며 "결국 자기들의 위기, 자기들이 잘못한 것, 이런 걸 누구 희생양을 데려다 덮어씌워서 위기를 모면하고 넘어가려고 하는 일시적 방편"이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당내 설문조사에 낙선자를 비롯한 20대 국회의원이 포함됐다는 점도 논란이다. 이번 총선 당선자 중 일부는 당선인 총회를 요구하고 있는데 낙선자들을 제외하고 당선인 총회에서 당의 향후 지도체제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5선에 성공한 정진석 의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지금 이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당선자 대회의 개최, 새 원내대표(당 대표 권한대행)의 선출"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총선 민의, 국민의 주권을 새로 받아 안은 것은 103명의 당선자들"이라며 "이들이 위기 탈출을 논의하는 주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