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 대통령, 판문점 선언 2주년 "코로나 위기, 남북협력 새 기회"

"평화는 하루아침에 오지 않는 것 절감"
"코로나19 공동 대처 등으로 협력 적극 이뤄지길"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오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4·27 판문점 선언 2주년을 맞은 27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가 남북협력의 새로운 기회일 수 있다. 지금으로서는 가장 시급하고 절실한 협력과제"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판문점 선언은 되돌릴 수 없는 평화의 문을 열었지만, 그로부터 지난 2년은 평화는 하루아침에 오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절감하게 한 기간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018년 4월 27일 판문점에서 첫 남북정상회담을 갖고 완전한 비핵화 실현을 공동의 목표로 확인한 판문점선언을 채택했다. 이후 두차례의 남북정상회담, 두차례 북미정상회담, 지난해 6월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회동 등이 이어졌다.

하지만 지난해 2월 북미 정상의 '하노이 노딜' 이후 북미 간 대화의 교착 국면이 장기화하고 있어, 한반도 평화 분위기도 다소 얼어붙은 상황이다.

문 대통령은 "남북의 정상이 역사적 판문점 선언을 한지 2년이 되었다"며 "저와 김정은 위원장이 손을 잡고 함께 군사분계선을 오가는 장면은 8천만 겨레와 전 세계에 벅찬 감동을 주었고, 두 정상이 합의한 판문점 선언은 전쟁 없는 평화로 가는 새로운 한반도 시대의 서막을 열었다"고 말했다.

또 "판문점 선언은 9·19 남북공동선언과 남북군사합의로 이어졌고, 남북관계를 새 단계로 진입시키는 출발점이 되었다"며 "판문점 선언 실천을 속도내지 못한 건 결코 우리 의지가 부족해서가 아니다.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국제적 제약을 넘어서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지난 3월 김정은 위원장이 친서를 보내 우리 국민을 위로하며 응원했고, 저도 이에 화답했다"며 "남과 북은 하나의 생명공동체다. 남북 생명공동체는 평화공동체로 나아가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를 공동 대처하는 협력에서 시작해 가축 전염병과 접경지역 재해 재난, 그리고 기후환경 변화에 공동 대응하는 등 생명의 한반도 위한 남북 교류와 협력이 적극 이뤄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