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5 총선 참패로 허우적거리고 있는 미래통합당이 위기탈출을 위한 수습책으로 추진해 온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체제'가 28일 무산됐다.
통합당은 이날 오후 전국위원회(전국위)를 열어 비대위 체제 도입을 의결했으나, 김종인 비대위원장 내정자가 4개월짜리 국면전환용 총알받이 역할은 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제1야당은 다시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혼돈의 수렁으로 빠져들 전망이다.
정치권에선 김종인 비대위 체제 도입을 밀어붙인 현 지도부의 힘이 급격하게 빠지면서 당이 조기 전당대회 개최 분위기 속에 격렬한 노선투쟁과 내홍에 휩싸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통합당은 이날 오후 모두 323명 출석한 가운데 전국위를 개최해 찬성 177명(반대 80명)으로 김종인 비대위 체제 도입을 의결했다. 하지만 앞서 열릴 예정이었던 상임전국위 개최가 정족수 부족으로 물거품 되면서 비대위 활동시한은 차기 전당대회(8월 31일 전) 전까지로 한정됐다.
이에 김종인 내정자가 측근인 최명길 전 의원을 통해 "오늘 통합당 전국위에서 이뤄진 결정을 비대위원장 추대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통합당의 비대위원장 제안을 거절했다.

비대위 체제를 밀어붙인 심재철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한테 오늘 이 투표 내용을 다시 말하고 비대위원장을 수락해주시라고 요청할 생각"이라는 뜻을 밝혔지만 이미 떠난 버스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정치권에선 통합당이 지도체제를 둘러싼 백가쟁명식 갑론을박과 차기 대권주자들이 중심이 된 격렬한 노선투쟁으로 상당한 내홍을 겪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합당 관계자는 "신임 원내대표가 중심이 돼 조기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그림이 예상된다"며 "차기 대권경쟁과 직결된 당의 노선투쟁 속에 무소속 대권주자들의 복당 문제도 얹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