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판 그린 뉴딜 주요 사업은 건축물 리모델링...정부 차원에서 그린 리모델링 활성화 지원할 듯

정부 위원회, 한국판 뉴딜 관련해 그린 리모델링 사업 적극 제안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위원장 홍장표)와 국토연구원(원장 강현수), KDI국제정책대학원(원장 유종일)은 27일 서울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건축물 그린 리모델링과 한국판 뉴딜'을 주제로 공동 토론회를 열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한국판 뉴딜' 사업을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기로 방침을 정한 가운데 개최된 이번 토론회에서는 그린 뉴딜의 일환으로 주목받는 '건축물 그린 리모델링(에너지 성능 향상 및 효율개선이 필요한 기존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 사업)'의 현황을 집중 진단했다.

홍장표 소득주도성장특위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이 소득주도성장과 경제의 근간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자리 창출 능력이 월등한 건축물 그린 리모델링은 유력한 일자리 창출 방안이며, 그린 뉴딜의 핵심정책"이라고 했다.

홍 위원장은 또 "노후 건축물에 대한 대대적인 개보수 사업을 통해 공공투자가 민간투자를 이끌어내는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건축물 그린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폭넓게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현수 국토연구원장은 "지난해 시작된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등 전환적 뉴딜에 관한 논의가 지금의 한국판 뉴딜의 초석이 되었으며, 그린 뉴딜의 실행전략으로 그린 리모델링을 논의하는 오늘의 토론회가 한국판 뉴딜의 튼튼한 주춧돌이 될 것"이라고 했다.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비서관은 축사에서 "정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한국판 뉴딜을 추진하고 있으며,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그린 뉴딜은 한국판 뉴딜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기조연설에 나선 변창흠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은 "건축물 그린 뉴딜은 환경개선과 일자리 창출, 경제성장, 나아가 에너지 빈곤 완화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는 마중물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LH는 공공 디벨로퍼(developer)로서 취약계층 이용 건축물, 공공임대주택 등을 중심으로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활성화하고, 제로에너지 주택 및 도시기반 구축을 위해 적극적 투자를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