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판문점 합의에 따라 개소한 남북공동연락사무소가 1년 9개월만에 처음으로 연락두절 상태에 빠졌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연락사무소는 예정대로 북한과 통화 연결을 시도했으나 현재 북측이 받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통상 연락사무소는 특별한 현안이 없더라도 평일 오전 9시와 오후 5시 두 차례에 걸쳐 업무 개시와 마감 통화가 이뤄져 왔다.
2018년 9월 남북연락사무소 개소 이후 북측이 통화연결 시도에 대해 전화를 받지 않은 건 처음이다.
앞서 북한 통일전선부는 지난 5일 대변인 명의의 담화에서 김여정 북한 노동장 제1부부장의 지시라며 "남북 공동 연락사무소를 결단코 폐지하겠다"고 했다.
이에 따라 북한이 공언한 대로 연락사무소 폐쇄 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여 대변인은 '오전 개시 통화가 불발된 것을 연락사무소 가동 중단으로 봐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오늘 오후에도 예정대로 통화를 시도할 예정이며, 관련 상황을 지켜보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이어 "정부는 모든 남북합의를 철저히 준수하면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북측과 협력을 계속해나간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김 제1부부장 담화가 나온 다음 날인 5일에는 남북 간 연락사무소 통화가 오전·오후 모두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다만 서해지구 남북 군 통신선은 8일 오전 현재 정상 가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 군사 당국은 군 통신선을 이용해 매일 오전 9시와 오후 4시 등 두 차례 정기적인 통화를 하고 있다. 특히 서해지구 군 통신선은 남측이 북측에 보내는 대북 전화통지문을 발송하는 통로로 이용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