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폭염 대책 세웠지만…"취약계층 배려 부족"

시, 1만여 가구에 냉·선풍기 지원…시민단체 "대다수 주거 환경 열악"
"냉방시설 마련된 공간 개방해야"

대구 중구 달성공원 내 향토역사관 무더위 쉼터에
대구 중구 달성공원 내 향토역사관 무더위 쉼터에 '코로나19로 무기한 폐쇄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매일신문 DB

대구시가 폭염 종합 대책을 세웠지만 정작 폭염 취약계층에게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반빈곤네트워크·인권운동연대는 8일 성명을 내고 "실내 무더위 쉼터가 코로나19로 문을 닫으면서 집에서 더위를 피하기 어려운 홀몸노인·쪽방 주민 등이 사각지대에 놓였다"고 주장했다.

대구시는 지난 4일 홀몸노인·쪽방 주민 등 폭염 취약계층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우선 휴관 중인 실내 무더위 쉼터 대신 집 안에서 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냉방용품을 지원한다는 내용이었다. 폭염 취약계층 1만여 가구에 냉풍기와 선풍기를 6월 말쯤 지원한다는 것이다. 한여름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재난도우미도 지원한다고 밝혔다. 전화 등 비대면·비접촉 방식으로 폭염 취약계층의 건강 상태를 확인한다는 것.

이에 대해 반빈곤네트워크·인권운동연대는 '냉풍기 등 대구시의 냉방용품 지원은 현실과 동떨어진 대책'이라고 지적했다. 냉풍기의 냉매제가 녹으면서 통풍이 잘 되지 않는 쪽방 내부의 습도를 오히려 높힐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하루 두 번씩 냉매제를 교체해야 하는 탓에 장애가 있는 이들이 냉풍기를 관리하는 것도 어렵다는 게 이들의 얘기다.

서창호 반빈곤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폭염 취약계층은 열악한 주거 환경에서 살고 있어 한 번 폭염이 닥치면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받을 수 있다"며 "폭염 기간 2, 3개월만이라도 냉방시설이 마련돼 있는 임시 주거 공간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대책이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