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6일 문재인 대통령의 4차 남북정상회담 제안은 유효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출입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이 1년 전 4차 남북정상회담을 제안한 바 있는데 이와 관련한 입장이 있느냐'는 질문에 "제안을 한 상태고, 당연히 유효하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4월 15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남북정상회담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추진할 시점"이라며 "북한의 여건이 되는대로 장소와 형식에 구애받지 않겠다"며 4차 정상회담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 관계자는 정치권 일각에서 거론되는 대북 특사에 대해 "특사 파견 이야기는 들어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전날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기 위해 소통과 협력을 강조한 데 대해선 "대통령은 올해 신년사와 취임 3주년 특별연설에서 남북이 협력해 할 수 있는 일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남북 간 철도 및 도로 연결, 비무장지대(DMZ) 국제평화지대화,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재개, 2032년 올림픽 공동개최, 개별 관광 등 문 대통령이 제안한 남북 협력사업을 열거했다.
이 관계자는 "저희는 이 제안을 철회한 바 없다"며 "남북 협력사업이 여기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북한군 총참모부가 비무장화된 지대에 군대가 다시 진출할 가능성을 거론한 데 대해선 "이미 통일부와 국방부가 입장을 밝혔다"며 "정부는 절제해 단일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