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 일정 보이콧 통합당, 안보만큼은 강경 의지

납북 피해자 가족과 간담회 열어…김종인 "남북관계 전혀 진척 못해"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왼쪽 세번째 부터), 박진 외교안보특위원장 등이 23일 국회에서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미일 이사장 등 임원들을 만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왼쪽 세번째 부터), 박진 외교안보특위원장 등이 23일 국회에서 6·25전쟁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미일 이사장 등 임원들을 만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은 23일 6·25전쟁 납북 피해자 가족과 간담회를 하고, 문재인 정부의 대북·대미 '굽신 외교'를 비판하며 안보 이미지 부각에 주력했다.

국회 의사일정 전면 거부라는 강경 입장 속에서도 북한의 도발과 안보만큼은 책임 있게 다루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통합당은 6·25 전쟁 70주년과 제2연평해전 18주년을 맞은 이번 주를 '안보 기념주간'으로 지정하고 연일 안보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남북관계 대화를 주장하는 정부는 특정한 정치 목적에 사로잡혀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전혀 진척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볼턴이 이야기한 대로 북한이라는 나라에 대해 우리가 어떠한 친분을 가지고 이야기하기가 어려운 상황이 아닌가 생각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회고록 '그 일이 일어난 방'에서 지난해 6월 말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회동'과 관련, "미국과 북한 모두 북미 양자 간 정상회동을 원했으나 문재인 대통령이 '동행'을 원했다"고 밝혀 저자세 논란을 불렀다. 또 문 대통령의 비핵화 해법을 조현병 환자에 비유해 청와대와 공방을 벌였다.

박진 통합당 외교안보특위 위원장도 회의에서 "납북피해에 대한 진상규명과 납북피해자의 명예회복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결의안과 법률안, 예산지원 등 정책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통합당은 의사일정을 보이콧한 가운데에도 더불어민주당 측에 외교안보합동회의(24일)를 제안하는 등 북 도발 대응에 대해선 적극적으로 논의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박 위원장은 "상임위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중요한 안보상황이 전개되고 있어 초당적 차원에서 여야 의원이 머리를 맞대고 회의하자고 제의한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통합당은 지난 22일 외교안보특위 회의를 열고 정부의 대북 심리전 재개와 북한의 비핵화 촉구, 한미 동맹 강화 등의 내용이 담긴 대북 규탄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