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가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을 기념해 건립한 기념비에 고속도로 건설을 주도했던 박정희 전 대통령 이름이 빠져 '박정희 대통령 흔적 지우기'가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도로공사는 경북 김천 추풍령휴게소 공원에 경부고속도로 개통 50주년을 기념하는 기념비를 7일 세웠다. 이곳에는 서울~부산간 고속도로 준공 기념탑도 세워져 있다. 기념탑 정면에는 50년 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서울~부산간 고속도로는 조국 근대화의 길이며 국토통일의 길이다. 1970년 7월 7일, 대통령 박정희'란 문장이 새겨져 있다.
당시 정부는 '5000년 우리 역사에 유례 없는 대토목공사'이자 한국 근대화의 기틀이 될 경부고속도로 준공을 기념하려 화강암으로 만든 기념탑(높이 30.8m)을 세웠다.

그러나 기념탑 오른쪽에 새로 들어선 '준공 50주년 기념비'에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기념비에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경부고속도로는)5000년 우리 역사에 유례 없는 대토목공사이며, 조국 근대화의 초석이 되고 국가발전과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하면 된다'는 자신감과 긍정적인 국민정신 고취에 크게 기여했다"고 새겼다. 이어 "건설 당시 열악한 여건 속에서도 불굴의 도전정신으로 땀과 열정을 쏟아 헌신한 건설역군들을 비롯한 설계 및 건설업체명을 새겨 후세에 기리고자 한다"며 기념비 설립 취지를 밝혔다.

이 기념비 옆에는 주원·이한림 전 건설부 장관을 비롯해 건설부 관료, 국방부 건설공병단 장교, 설계 건설업체 관계자 등 경부고속도로 공사에 참여한 530여 명의 이름을 새긴 명패석이 들어섰다. 그렇지만 경부고속도로 대역사를 진두지휘한 박 전 대통령 이름은 기념비 그 어디에도 없다.

앞서 지난해 11월 한국산업단지공단 대구경북지역본부가 경북 구미 광평동 수출산업탑 앞에 세운 구미국가산업단지 조성 50주년 기념 '선언문비'와 '번영의 문'에도 정작 구미산단을 조성한 박 전 대통령의 이름이 빠졌다.
또한 구미시는 지난해 9월 구미공단 50주년 기념행사에서 박 전 대통령을 빼고 김대중·노무현·문재인 대통령만 등장하는 홍보 동영상을 상영해 '박정희 흔적 지우기'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다.
이에 대해 도로공사 관계자는 "준공 50주년 기념비는 건설 참여자들 이름을 새겨 그들의 노고를 기리는 기념비"라며 "기념탑에 이미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것이 있기 때문에 기념비에는 일반적으로 대통령을 넣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