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계 악화가 이어지는 '신냉전' 상황에서 미국 등이 2022년 중국 베이징(北京) 동계올림픽 참가를 보이콧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일부에서는 양국 갈등이 격화할 경우 군사적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20일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이 최근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일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카운트다운 시계'를 공개하고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지만 보이콧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동계올림픽에 31억 달러(약 3조7천억원)의 예산을 책정했고, 스키 대회장인 허베이성 장자커우(張家口)와 베이징을 연결하는 고속철 사업에 82억 달러(약 9조8천억원)를 쓰는 등 대규모 투자를 진행했지만 성공적인 개최 가능성이 불투명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대중국 강경론자인 마르코 루비오 상원의원은 2018년 신장(新疆) 위구르(웨이우얼) 자치구 인권상황을 이유로 개최권 박탈을 주장한 데 이어, 릭 스콧 미 상원의원은 지난 3월 2021년 1월까지 인권 상황이 눈에 띄게 개선되지 않으면 개최국 교체를 요구할 수 있는 법안을 마련한 상태다.
옥스퍼드대학 중국센터의 조지 마그누스 교수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메달 집계를 보면, 상위권 국가들의 불참은 중국에 분명 고통스러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평창 대회 당시 노르웨이·독일·캐나다·미국·네덜란드·스웨덴 등 6개국이 전체 금메달의 절반 이상을 휩쓸었는데 이 가운데 캐나다·미국·스웨덴 등이 최근 중국과 관계가 좋지 않다는 것이다.
게다가 미국 주도로 영국·호주·뉴질랜드·캐나다 등이 참여하는 '파이브 아이즈 동맹'이 기술·무역·이념 등 다방면에서 중국과의 긴장을 높여갈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중국 책임론까지 제기되고 있다.
소우랍 굽타 중미연구소 연구원은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 재선 시 보이콧 가능성이 있지만 거의 승산이 없을 것"이라면서도 신장 지역 인권 상황과 관련한 보이콧 움직임이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런던대 중국연구소장인 스티브 창 교수는 중국의 공격적인 '전랑'(戰狼·늑대 전사) 외교로 반중 여론이 악화하면 보이콧 움직임이 설득력을 얻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격화할 경우 군사적 충돌이 벌어질 가능성마저 경고했다. 호주 싱크탱크인 전략정책연구소의 맬컴 데이비스 선임연구원은 "중국은 코로나19 확산을 미국의 약점을 이용할 기회로 여긴다"며 "중국은 미국이 반격하지 않을 것이라는 오판을 내리고 영토 분쟁을 무력으로 해결하려는 유혹에 끌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이 '핵심 국가이익'으로 여기는 남중국해에서 미국이 '항행의 자유' 작전을 강화하거나, 미국이 독립 성향의 대만 차이잉원(蔡英文) 정부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때 이러한 군사적 모험에 대한 유혹이 커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경고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