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시아나항공 국유화, 손병두 “모든 가능성 감안”

HDC현대산업개발, 아시아나항공 인수 포기 시 일시 국유화
코로나19 사태 정리 시까지 항공사 다운사이징 통해 시간 벌기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8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아시아나항공 국유화 가능성과 관련 "모든 가능성을 다 감안해 관계기관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2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 HDC현대산업개발(이하 현산)이 인수를 무산시키면 아시아나항공이 국유화 될 가능성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이 같이 대답했다. 그러나 손 부위원장은 "미리 섣불리 이쪽으로 간다, 저쪽으로 간다고 예단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증권업계에서는 현산이 아시아나항공 인수에서 발을 뺀다면 아시아나는 결국 국유화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다른 매수자를 찾겠지만 항공업황 개선까지 2~3년이 예상되는 마당에 새 인수자가 나타날 가능성이 희박한 탓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이스타항공과 달리 규모가 너무 커 법정관리 후 기업청산 절차를 밟기에는 무리가 있다. 결국 현 대주주 금호고속의 차등감자와 산업은행의 지분확보를 통한 국유화 수순을 밟을 것이란 예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 26일 현산이 금호산업·채권단에 8월부터 3개월간 아시아나항공 재실사를 하겠다고 한 것에 대해 산업은행은 27일 "현산 측의 인수 의지의 진정성 관련 저의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현산의 행보에 대해 채권단과 정부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의미 없는 명분 쌓기'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현산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불발될 경우를 대비해 형식적인 절차를 밟아가고 있다는 것.

서울시 강서구 아시아나항공 본사 로비. 연합뉴스
서울시 강서구 아시아나항공 본사 로비. 연합뉴스

한편, 현산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무산되면 '일시적 국유화'를 한 뒤 핵심 사업만 남기고 나머지 사업은 매각·정리해 아시아나 항공의 덩치를 줄인다는 예상이 우세하다.

아시아나항공과 6개 자회사인 에어서울, 에어부산, 아시아나IDT, 아시아나개발, 아시아나세이버, 아시아나에어포트 가운데 아시아나항공을 제외한 나머지 자회사를 먼저 매각·정리하고, 코로나19 사태 이후를 도모하겠다는 뜻이다.

아시아나항공 내부 사업 또한 상당 폭의 정리가 단행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노선에 대해선 과감한 조정이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의 경쟁력에 대해서는 오랜 시간 의문이 제기됐던 것이 사실"이라며 "채권단은 아시아나항공의 핵심 역량만 남겨 놓고, 추후 매각 때에는 '항공업 라이선스' 매각에 초점을 맞추는 형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