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시무 7조'를 썼던 진인(塵人) 조은산이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를 삼국지에 나온 인물인 '예형'에 비유한 박진영 더불어민주당 부대변인의 논평에 반박의 글을 남겼다.
조은산은 14일 밤 자신의 블로그에 '더불어민주당 박진영 부대변인의 논평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조은산은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를 삼국지의 '예형'에 비유하는 논평을 낸 박 부대변인을 향해 "그대는 논객 진중권을 예형 따위의 인물에 비유했으나 가당치도 않은 말씀"이라고 했다.
그는 "예형이라는 인물은 앞뒤 안 가리는 독설로 인해 결국 죽음을 맞이하는 인물 중 하나"라며 "졸지에 논객 진중권은 후한 말의 선비로 재탄생해 강하 태수에 의해 목이 달아나는 불귀의 객으로 전도됐다"고 했다.
조은산은 "박 부대변인의 논평을 읽고 깔깔대며 웃느라 한동안 꺾인 몸을 곧게 피질 못했는데, 그것은 폭군 조조의 휘하에서 알몸으로 북을 두드리는 예형의 처절함이 그(진중권)의 현실과 진배없음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했다.
조은산은 진 전 교수가 최근 여권을 겨냥했던 발언을 인용하며 "아래옷을 벗어 던지며 두구 두구 '그대는 조국의 똘마니인가', 저고리를 벗어 던지며 두구 두구 '그것은 너희들의 세상 아니던가', 속곳을 벗어 던지며 두구 두구 '이 무슨 추안무치인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감히 진중권을 평하건대, 장판교의 늙은 장익덕이나 하비성의 안경 쓴 관운장은 과연 어떻겠나"라며 "177석의 거대 여당에 맞서 세 치 혀와 글월로 외로이 고군분투하는 그를 예형 따위가 아닌 관우, 장비에 비유해도 크게 무리는 아니지 않겠나"라고 했다.
조은산은 박진영 부대변인을 향해 "그대와 잘 어울리는 인물이 과연 누구일까 고심하다 겨우 추려냈다"며 '여백사의 진궁' '계륵의 양수' '빈 밥그릇의 순욱'을 꼽았다. 조은산은 "셋의 공통점은 그대와 같이 학식과 지혜를 갖춘 당대의 모사였다는 것"이라고 했다.
삼국지에서 조조의 신하들로 나오는 이들 세 사람은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다. 진궁은 여백사를 죽인 조조의 잔인함을 알고 그와 대립하다 죽임을 당했고, 양수는 조조 앞에서 지나치게 똑똑한 척하다 목이 베였다. 밥그릇이 빈 밥상을 하사받은 순욱은 조조의 뜻을 알고 목숨을 끊는다.
조은산은 "정치라는 것이 실로 팍팍하다 못해 가루가 날릴 지경"이라며 "박 부대변인이 답을 하기 전에 자신을 스스로 되돌아보고 새겨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이 같은 비유를 든 이유를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