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집값 폭등 전…막차 탑승한 '영끌 2030', 38만명 기록

정부 규제 역설, 다주택자 수 통계 작성 이래 '최고'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30대 이하 젊은층 인구 중 38만명이 집값이 폭등하기 전인 지난해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30대 이하 젊은층 인구 중 38만명이 집값이 폭등하기 전인 지난해 '내 집 마련의 막차'를 타는데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의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다주택자 숫자가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를 기록했으며, 정부의 주택공시가 현실화에 따라 고가주택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상·하분위 주택가격의 격차도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연합뉴스

30대 이하 젊은층 인구 중 38만명이 집값이 폭등하기 전인 지난해 '내 집 마련의 막차'를 타는데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의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다주택자 숫자가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를 기록했으며, 정부의 주택공시가 현실화에 따라 고가주택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상·하분위 주택가격의 격차도 역대 최대로 벌어졌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 주택시장 거의 모든 부문에서 '빈익빈 부익부'가 더욱 더 극심하게 나타났고, '영혼까지 끌어모아 내 집 마련에 나선 젊은세대(영끌세대)'의 선택이 옳았던 것으로 밝혀진 셈이다.

'부동산 시장만은 반드시 안정시키겠다'는 문재인 정부를 '믿고 기다린 무주택자'의 경우 이제는 겉잡을 수 없이 치솟은 아파트 가격으로 인해 '선택의 기회마저 상실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통계청의 '2019년 주택소유통계' 분석 결과, 지난해 주택 소유건수 증가자는 123만8천명이었고 이중에서 30세 미만은 8만1천500명, 30대(30~39세)는 29만9천900명으로 나타났다. 20~30대 비율이 각각 전체의 6.6% 및 24.2%를 차지한 셈이다.

지난해 주택을 새로 산 사람은 40대가 32만1천600명(26.0%)으로 가장 많았고 50대는 28만6천100명(23.1%)로 그 다음을 이었다.

반면 지난해 소유한 주택 숫자를 줄인 사람은 74만4천명이었다. 이 중에서 30세 미만은 1만7천명(2.3%), 30대는 11만1천명(14.9%)이고, 50대 18만7천300명(25.2%), 40대 17만4천500명(23.5%)이었다.

한편 지난해 2주택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는 228만 3천758명으로 통계를 작성한 2012년 이후 최대 규모였다.

전체 주택 소유자수는 1천433만5천723명으로 전년(1천401만290명)에 비해 2.3% 늘었다. 그러나 지난해 1주택자는 1천205만 1천965명으로 전년(1천181만 8천335명)에 배해 23만여 명 늘어났지만 전체 주택소유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4.4%에서 84.1%로 오히려 줄었다.

다주택자 중에서는 2주택자는 179만 6천891명으로 2018년(172만 844명) 보다 7만6천명이 늘어났다.

더욱이 3주택자와 4주택자, 5채 이상을 보유한 다주택자의 규모가 모두 전년 대비 크게 늘어나 문재인 정부의 다주택자 규제를 무색하게 했다. 지난해 5주택 이상 보유자는 전년 대비 900명 정도 증가한 11만 8천62명으로 조사됐다.

주택 자산가치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도 가속화 되었다. 상위 10%(10분위)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11억300만원으로 전년 9억7천700만원보다 12.9%나 급등한 반면에, 하위 10%(1분위) 주택가액은 2천700만원으로 그 격차는 크게 확대되었다.

전문가들은 주택의 빈익빈 부익부가 가속화한 원인과 관련, "고가주택에 대한 공시가율 현실화에 따라 저가주택 보다 고가주택의 주택가액 상승폭이 훨씬 컸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