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글 먹통' 사태에 넷플릭스 법 첫 적용

과기정통부 "장애원인 자료 요구…한국어로 공지"

세계 최대의 검색 엔진 구글과 동영상 서비스 유튜브 등이 14일 저녁 먹통이 됐다. 이날 오후 9시를 전후해 구글과 유튜브, 구글플레이 등 서비스가 일제히 장애를 일으켰다. 유튜브 공식 트위터는 이날 오후 9시 9분
세계 최대의 검색 엔진 구글과 동영상 서비스 유튜브 등이 14일 저녁 먹통이 됐다. 이날 오후 9시를 전후해 구글과 유튜브, 구글플레이 등 서비스가 일제히 장애를 일으켰다. 유튜브 공식 트위터는 이날 오후 9시 9분 "현재 많은 분이 유튜브에 접근하는 데 문제가 있음을 알고 있다"며 "유튜브 팀에서 이를 인지하고 현재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14일 오후 발생한 이른바 '구글 먹통' 사태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구글에 '넷플릭스법'을 처음으로 적용해 장애 원인을 파악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구글의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원인 파악을 위해 관련 사실과 조치사항에 관한 자료 제출을 요청하고, 서비스 중단 사실을 국내 이용자에게 한국어로 공지하도록 조치하겠다"고 15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10일부터 시행 중인 전기통신사업법 개정 시행령을 근거로 들었다. 넷플릭스, 구글 등 글로벌 콘텐츠제공사업자(CP)에게 국내 인터넷 서비스 안정성 확보를 위한 의무를 강화한 이른바 '넷플릭스법'이다.

과기정통부 쪽은 "해당 내용을 담은 공문을 구글 쪽에 보낼 예정"이라며 "공지와 관련해서는 전날 밤 유튜브 트위터에 영문으로 올라온 것과 같은 공지를 한국어로도 하도록 요청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구글과 유튜브는 14일 오후 8시 47분부터 약 45분 동안 먹통이 되는 장애를 일으켰다. 이번 오류에 대해 구글 쪽은 "구글 내부 스토리지 할당량 문제로 인한 인증 시스템 장애가 발생해 사용자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에서 높은 에러율이 발생했다"라며 "9시 32분에 문제가 해결됐고 현재 모든 서비스가 복원됐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