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여성정책개발원은 경북 여성과 가족의 현주소를 조명하기 위해 '2020 젠더통계로 보는 경북여성가족의 삶'을 발간, 각종 지표를 발표했다.
이번 통계는 여성인구 및 가구, 여성의 가정생활, 교육 및 복지, 여성의 경제활동, 여성의 사회적 지위, 여성의 안전, 여성의 건강으로 크게 7개 분야 47개 항목이다.
경북지역 아빠 육아휴직은 민간영역의 경우 19.7%로 2017년(14.7%) 대비 5% 상승 했다. 공무원은 23.1%로 2018년(17.5%) 대비 5.6% 상승해 아빠의 육아참여가 점점 활성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그러나, 부부 공동육아에 대한 인식과 제도가 개선돼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 의향은 높으나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의견이 여전히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경북여성의 경력단절 비율은 17.3%로 2018년(19.4%) 대비 2.1% 감소했다. 전국 평균 19.2% 대비 1.9%p 낮은 수치다. 여성의 경력단절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
가족관계에 만족한다는 비율은 여성 60.7%, 남성 59.8%로 2016년(여성 52.5%, 남성 57.3%) 대비 상승했다. 여성가족부가 2019년 발표한 '지역별 성평등 수준 분석연구'에서 경북의 가족관계만족도는 남녀 모두 높아 이 분야 성평등 수준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경북의 1인 가구는 일반가구의 32.6%로 2015년(30.3%) 대비 2.3%p 증가했다. 여성 1인 가구가 51.9%를 차지했다.
최미화 경북여성정책개발원장은 "성인지통계를 지속적으로 관리해 통계가 보여주는 사회현상에 부응하는 정책을 개발, 도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