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4일 글로벌 제약사인 얀센(존슨앤드존슨), 화이자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서 전날 이 같은 계약이 이뤄졌다고 발표했다.
정 총리는 화이자 백신에 대해서 "1천만명분을 계약했고, 내년 3분기부터 들어온다"며 "도입 시기를 2분기 이내로 앞당기고자 국가 차원의 역량을 총동원 중이고, 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내용의 정부의 발표에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부족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국방물자생산법(Defense Production Act·DPA) 발동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법이 적용되면 미국인에게 백신이 충분히 공급되기 전까진 미국 생산 물량의 수출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
지난 22일 뉴욕타임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화이자와 추가 구매 협상 과정에서 DPA를 발동 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기도 했다.
당초 트럼프 행정부는 화이자에 내년 4월에서 6월 사이에 백신 1억 도스를 추가 공급해 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화이자는 2분기에 공급할 물량은 이미 다른 나라와 계약돼 있다며 원자재 부족으로 추가 생산에는 난색을 보였다.
또 미국이 추가 구매를 주저하는 사이 화이자는 유럽연합(EU)과 2억 도스 등 여러 해외 정부와 백신 계약을 체결했다.
다만 화이자는 원자재 공급을 늘려주면 7000만 도스가량을 2분기에 더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미 정부에 제안했다고 한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가 DPA를 동원해 화이자가 백신을 만드는 데 필요한 9가지 특수 재료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화이자 백신 계약을 체결한 우리나라의 조달 일정이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화이자가 얼마나 많은 백신을 내년에 생산해낼 수 있을지는 여전히 변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계약 당사국들의 옵션 행사는 다른 나라 공급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난 11월 화이자는 전 세계적으로 생산할 양을 절반으로 줄여 5000만회분만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한 국내 감염병 전문가는 "백신 생산국의 욕심으로 계약과는 달리 수급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이 부분에 대한 해결은 외교적 능력에 달려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