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중소기업 청년 10명 중 7명은 근속기간 3년 미만

경북도, 중소기업 청년 근로자 실태조사 해보니

경북도청 본관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도청 본관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 중소기업 근무 청년 10명 중 7명은 근속기간이 3년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경험이 있는 청년 중 그 사유로 임금수준 불만족을 꼽는 청년이 가장 많았다.

경북도는 도내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19~39세 청년 324명을 대상으로 한 중소기업 청년 근로자 실태조사 결과를 지난 24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직무만족도, 복지제도, 근로환경 등 6개 항목 77문항으로 구성됐다.

직무만족도와 관련해 근무환경(5.48점)과 대인관계(5.32점)에서는 만족스럽다고 답했으나 기업의 장래성(4.57점)과 임금(4.51점) 부분에서는 만족스럽게 느끼지 않는 것으로 응답했다.

복지혜택 및 업무환경과 관련해 연차휴가제도와 정기건강검진은 각각 88.6%, 80.8%로 대부분의 중소기업에서 시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육아휴직(34.1%)과 출산휴가(29.9%)는 중소기업 3곳 중 1곳은 시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근로자 이직과 관련, 청년 근로자의 42.2%가 이직경험이 있었다. 이직 횟수는 1회 43%, 2회 33.3%, 3회 16.3% 순으로 나타났다.

이직사유로는 임금수준 불만족이 27.5%로 가장 높았고 전공·적성의 불일치 13.8%, 근로환경 불만족 13.1% 순으로 집계됐다. 단, 20~24세 청년은 임금수준 불만족(13.3%)보다 전공·적성 불일치(20%)로 인한 이직이 더 많았다. 연령대별로 차별화된 정책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청년 근로자의 평균근속기간은 1년~2년 미만 32.1%, 2년~3년 미만 22.6%, 6개월~1년 미만 16.8% 순으로 나타났다. 청년 근로자의 71.5%가 근속기간 3년 미만이라는 얘기다.

근속기간은 학력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 1년 미만 근무한 청년 중 고졸 이하가 39.3%, 10년 이상 근무한 청년 중 전문대졸이 70.4%로 각각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