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가족 내 전파의 주요 감염원은 사회생활을 하는 40·50대 아빠나 엄마인 것으로 파악됐다.
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11월20일~12월16일) 국내에서 발생한 확진자 1만 5천111명에 대한 코로나 19 전파 특성 분석 결과, 24.2%(3천654명)가 가족 내 선행 확진자를 통해 감염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같은 기간 발생한 0~19세 확진자 1천761명 중 43.5%(766명)는 가족 내 2차 전파를 통해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감염되는 선행 확진자는 40대(32.0%)와 50대(29.9%)가 가장 많았다. 직장을 다니는 아빠나 엄마가 사회생활을 통해 감염된 후 가족 내 배우자·자녀·부모로 전파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 방대본의 분석이다.
지난 5월 서울 이태원 클럽 발(發) 확산 땐 10~20대 자녀가 코로나에 확진된 후 부모, 조부모에게 전파하는 '가족 감염'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 지금은 40·50대가 주축이 되고 있는 셈이다.
실제 지난달 3차 유행이 본격화하며 가족·지인 접촉에 따른 코로나 확산이 많이 늘고 있다. 방역 당국은 2~3월 대구경북의 1차 유행, 8~9월 수도권의 2차 유행이 교회, 집회 등 특정 집단에서 시작돼 확산세가 커졌다.
그러나 3차 유행은 가족·지인 모임, 식당, 학원, 병원, 체육시설 등 일상생활에서 소규모 발병이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마디병원 최창동 원장은 "집단발병은 격리·추적 조사가 쉽지만, 지역사회 소규모 발병은 감염원을 특정할 수 없어 추적 조사가 쉽지 않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하더라도 가족·지인 간 만남은 지속하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검사를 받고, 동거 가족 간에도 마스크 착용이나 거리두기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코로나로부터 나와 내 가족을 보호하려면 무엇보다 외출·모임을 자제하고, 가정 내에서도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의 개인 위생수칙 준수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