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확진자 동선 공개않고 열흘 후 "검사 받으라"?…시민들 '답답'

온라인카페·SNS로 셀프 추적…"확진자 동선 안내 전면 공개해야" 지적도
확진자와 동선 겹치는 시민 한정해 코로나19 검사 안내 문자 발송

세밑 한파가 찾아온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손을 모으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연합뉴스
세밑 한파가 찾아온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역광장에 마련된 코로나19 임시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손을 모으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연합뉴스

시민 전모(30‧대구 달서구 송현동) 씨는 지난 3일 대구 수성구 보건소로부터 확진자와 동선이 겹치니 코로나19 검사를 받으라는 안내 문자를 받고 깜짝 놀랐다. 지난달 23일 수성구 한 식당에 확진자가 다녀갔는데 전씨가 같은 날 해당 식당에서 식사를 했다는 것이다. 전 씨는 "시청 홈페이지에 공개된 확진자 동선 어디에도 해당 식당이 없어 스팸문자인 줄 알았다. 확진자 동선이 즉시 공개되지 않아 너무 불안했다"고 했다.

일상생활 속 감염 전파가 지속되면서 불안에 떨고 있지만, 확진자가 다녀간 정확한 시설 명칭과 동선이 공개되지 않아 시민들의 불만이 크다.

현재 대구시는 식당, 도서관처럼 밀폐된 시설의 경우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 있었던 사람들만 한정해 코로나19 검사 안내 문자를 보내고 있다.

게다가 검사를 받으라는 안내 문자를 발송하는 시점도 확진자가 다녀간 시점으로부터 10일 이상 지나는 등 방역조치가 모두 끝난 뒤라는 지적도 나온다.

시민 모두가 볼 수 있는 확진자 동선은 시 홈페이지에 공개되는데, 홈페이지에 공개되는 동선은 극히 일부에 한정된다. 때문에 일부 시민들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해 자신이 받은 메시지를 공유하고 확진자 동선을 추적하고 나섰다.

시민 이모(31‧대구 북구 칠성동) 씨는 "2주 전에 방문한 곳에 확진자가 다녀간 것을 2주 지난 시점에 알려주면 잠복기도 다 지났을텐데 의미가 있나 싶다"며 "홈페이지에 올라오는 동선은 극히 일부에 불과해 온라인 카페나 SNS를 통해 보건소로부터 받은 문자 메시지를 공유하며 확진자가 다녀간 곳을 찾고 있다"고 했다.

코로나19 검사 안내 문자의 경우 해당 구군과 시 차원의 역학조사를 거쳐 문자 발송 대상과 범위를 결정한다는 게 대구시의 설명이다. 역학조사관들이 감염 위험도를 평가해서 어느 수준까지 검사를 받을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

대구시 감염병관리과 관계자는 "모든 시민들에게 확진자 동선을 전면 공개하면 불필요한 불안감을 조장할 수 있다. 역학조사관들이 상황별로 위험성을 검토해 검사 필요 대상을 정한다"며 "식당은 같은 시간대 밀폐된 공간에 있었던 사람이 검사 대상"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