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정시설 집단감염 확산…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건강은?

동부구치소 수감중이던 이 전 대통령 서울대병원 입원 중
박 전 대통령 주2회 통원치료…특사 논의 속 코로나 증상 없어
,

(왼쪽부터)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 연합뉴스
(왼쪽부터)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 연합뉴스

교정시설 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수감 중인 전직 두 대통령의 안위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특별사면 논의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두 사람 신변에 문제가 생길 경우 후폭풍이 일파만파로 확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4일 현재 방역실패로 이명박 전 대통령이 갇혀 있던 서울 동부구치소 관련 확진자 수가 1천명을 넘어서면서 정치권에서도 전직 대통령의 건강상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정치권에선 교정 당국이 전직 대통령만을 위한 별도의 방역관리지침을 준비하진 않겠지만, 불상사에 대비한 최소한의 조치는 마련해 놓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스 자금 횡령과 삼성으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 등으로 징역 17년이 확정된 뒤 지난해 11월 동부구치소에 수감된 이 전 대통령은 한 달쯤 뒤인 12월 21일부터 서울대병원에 입원한 상태다. 이 전 대통령은 코로나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집단 감염세로 기저질환이 악화할 경우 사망 위험이 크다는 이유였다.

이 전 대통령 측은 지난달 28일 서울동부지검에 형 집행을 정지해 달라며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30일 '불허' 통보를 받았다.

이 전 대통령 측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심해 수용자를 다른 수형시설로 이감까지 하는 상황이라 전직 대통령이 동부구치소로 다시 돌아가는 것은 이치에 맞는 않는 것 같다"면서도 "어떻게 해달라고 의견을 낼 수는 없는 입장"이라고 했다.

경기도 의왕시에 소재한 서울구치소에 수용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신장관련 질환 치료를 위해 일주일에 두 차례 외부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지만, 코로나19와 관련한 특별한 병세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원진 우리공화당 대표는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른 별도의 의료적 지원이 있는지 여부는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며 "교정시설에서 이에 대한 투명한 설명도 필요하다"고 했다.

조 대표는 이어 "오는 14일 최종 대법원 선고가 남아 있기 때문에 박 전 대통령이 수감장소 이동 등 신변과 관련한 사항에 변동이 있을 것으로 보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