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시·군마다 '인구 사수'를 위해 올해부터 출산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등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울진군은 이달부터 출산 지원금을 대폭 늘리고, 출생지나 거주기간에 상관없이 대상자를 확대했다.
울진지역에서 기간과 상관없이 부모 중 1명과 함께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출생 5년 미만인 영유아에게는 만 5세 직전 달까지 지원금이 나오도록 했다. 또 셋째아 이상은 5년간 기존 최대 지원금(600만원)이 2배 이상 상향돼 월 20만원씩(최대 1천200만원) 지원된다.
성주군은 기존 12개월이던 출산·양육지원금을 36개월(2019년생부터 대상)로 확대했다.
또 지역거주 요건 미충족으로 지원받지 못했던 부부의 결혼장려금을 소급해 지원하고, 지역 내에서의 결혼을 증빙하면 최대 100만원의 성주사랑상품권을 추가 지급하는 등 다양한 혜택을 내세우고 있다.
고령군도 출산장려금을 2배로 높였다.
첫째아 50만→150만원, 둘째 240만→480만원, 셋째 360만→720만원, 넷째 600만→1천200만원 등으로 늘렸다.
안동시는 돌 축하금을 새로 만들었다. 올 한해동안 첫돌을 맞는 700여 명에게 1인당 50만원씩, 모두 3억5천만원을 지원한다.
영천시는 영천으로 주소를 옮기는 학생 및 군장병에게 주는 전입 장려금을 늘렸다.
또 지난해 11월 조례 개정을 통해 ▷지역내 중·고교와 대학에 재학중인 기숙사 및 주택 전입자에 학기당 20만원 ▷전입 후 1년 이상 주소를 두고 거주한 직업군인 및 군무원에 생활지원금 30만원 ▷영천에 주소를 둔 군장병에 상해보험 가입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신혼부부에는 예식비 100만원과 함께 대출한도 5천만원내에서 연1.5%의 전세자금 대출이자를 3년간 지원한다.
하지만 각 시·군이 경쟁적인 인센티브 제공에만 집중하는 것보다 좀 더 다양하고 실질적인 유인책 마련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의 한 교수는 "인구 증감에 있어 교육여건과 일자리 등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며 "장기적으로 인구를 늘리거나 지키기 위해서는 광역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가 합심해 이런 부분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한덕수 "김문수, 약속 지켜야…사실 아닌 주장 계속되면 바로잡을 것"
김문수-지도부, 단일화 사분오열…국힘, 대선 포기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