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억원 미만 규모의 대구 주택 거래를 정밀하게 조사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오는 3월까지 주요 부동산 과열지역에 대한 기획조사가 진행 중이다. 조사 지역은 대구·창원·천안·전주·파주·울산·부산·광주 등이다. 모두 단기간 내에 실거래가가 급상승하거나, 거래량이 급증하는 등 과열 양상이 뚜렷한 곳이다. 정부가 수도권 이외에 전국으로 감시망을 넓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대구 등 일부 지역은 취득세 중과 배제로 투기성 자금이 몰린 '공시가격 1억원 미만' 주택까지 조사 대상을 확대했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대구는 지난해 12월 한 달 동안 1억원 미만 주택 매매가 204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 가량 급증했다.
이에 국토부는 최근 대구시에 800건을 투기 의심 건수로 지목해 실거래를 중심으로 집중 점검하라고 통보했다.
이번 조사 대상은 국토부가 운영 중인 '부동산시장 합동 점검반'이 선정한 1억원 미만 주택 밀집 지역으로, 사실상 1억 미만 아파트에 대한 '핀셋' 조사라는 게 관계자 측의 설명이다.
현재 정밀 조사는 ▷외지인의 투기성 주택매수 ▷미성년자 편법증여 의심 거래 ▷업·다운계약 의심 거래 등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국토부, 지자체 담당자, 특별사법경찰관 등 100여 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이 주요 과열 지역의 중개사무소를 중심으로 현장 단속 중"이라며 "특히 1억원 미만 주택의 경우에는 위법 사항을 정밀히 조사 중이고, 그 결과는 조만간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첫 유튜브 댓글 6천500개 중 악플은 몇 개?
정성호, 한동훈 '론스타 항소' 두고 "잘하신 일…퇴임 후 본격 진행"
조국, 부산시장 출마?…"전당대회 이후 마지막에 결정"
"큰손 사업가, 오만해"…北, 부부 총살형에 아이들까지 강제 참관
"창문없는 지하 2층·6평에 3명 근무"…유튜버 원지, 사무실 논란에 꺼낸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