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이주열 총재는 15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를 열고 현 연 0.5%의 기준금리 기조 유지를 확정했다. 재난지원금 지급 방식은 '선별' 쪽으로 손을 들어줬다.
금통위는 이날 지난해 3월과 5월 총 0.75%포인트를 내린 이후 시작된 동결 기조를 유지했다.
금통위는 기준금리 결정 뒤 공개한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을 통해 "국내 경제 회복세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 압력도 낮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 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코로나19 전개 상황, 정책 대응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자산시장으로의 자금 흐름, 가계 부채 증가 및 금융 안정 상황 변화에도 유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준금리 동결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기준금리(3월 0.00∼0.25%로 인하)와 격차는 0.25∼0.5%포인트(p)로 유지됐다.
지난 4∼7일 금융투자협회가 채권업계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서도 응답자 100명 모두가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저금리 속에 지난해 가계대출이 사상 최대 규모(100조원)로 불어나고, 이 유동성이 부동산·주식 등 자산으로 몰리면서 '버블(거품)' 논란이 커지는 점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금통위 회의 직후 기자들과 온라인 간담회를 갖고 "재난지원금은 선별적으로 주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그는 "한정된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쓸 것인가를 고려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선별 지원의 이유는 분명하다"며 "코로나19 피해가 집중된 어려운 계층에 지원하는 것이 오히려 (지원) 효과가 크고, 그 결과 경기 회복 속도도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