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바이든 "시진핑, 민주적 구석 하나도 없어…중국과 극도의 경쟁"

"트럼프 방식으로 하진 않을 것"…국제공조로 인권 등 압박전략 재확인
이란의 대화 복귀 위한 선 제재 해제 질문엔 "노(No)"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가뜩이나 껄끄러운 관계인 중국과 이란을 향해 강경 발언을 쏟아내 당분간 긴장 국면이 이어질 전망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방송된 미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에 대해 "매우 영리하고 터프(tough)하다"면서도 "그는 민주주의적인 구석은 하나도 없다. 비판이 아니라 단지 현실이 그렇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또 "미국과 중국이 충돌할 필요는 없으나 극도의 경쟁이 있을 것"이라며 "우리는 국제적 규칙이라는 수단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5일 이뤄진 이 인터뷰에서 나온 발언들은 중국과의 경쟁은 불가피하지만 전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실제로 바이든 대통령은 고율 관세와 같은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전쟁 대신 동맹을 규합해 국제적 연대 속에 중국을 압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해 왔다.

바이든 대통령은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 기술 탈취 등 다방면의 압박에 나서겠다는 의중도 드러낸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4일 외교정책 연설에서 중국을 가장 심각한 경쟁자라고 지칭한 뒤 "인권과 지식재산권, 글로벌 지배구조에 관한 중국의 공격에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 취임 이후 아직 시 주석과 정상 통화를 하지 않은 데 대해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인터뷰에서 기회가 없었다면서도 "그와 전화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언급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란 핵문제와 관련해 이란을 협상 테이블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먼저 제재를 해제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아니다"(No)라고 답했다. 또 이란이 먼저 우라늄 농축을 멈춰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답변 없이 동의의 표시로 고개를 끄덕였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2015년 7월 이란의 우라늄 농축 등 핵활동 제한과 대이란 제재 완화를 골자로 한 이란 핵합의(JCPOA)를 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18년 5월 이 합의에서 탈퇴하고 이란 제재도 부활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 기간 이란 핵합의 복귀 입장을 밝힌 가운데 현재 미국은 이란의 핵합의 준수를 요구하고 있지만, 이란은 역으로 제재 해제를 먼저 주문하는 등 양국 간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