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18주기를 맞아 희생자 추모 취지에 맞도록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에 '2·18 기념공원' 명칭을 함께 써달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아울러 부상자에 대한 지원 제도 개선 목소리도 나왔다.
김태일 2·18 안전문화재단 이사장은 17일 대구시의회를 찾아 '대구시 시민안전테마파크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2·18 기념공원'이라는 명칭을 병기하기 위한 조례 개정 청원서를 제출했다.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는 국비와 국민 성금 250억원을 투입해 지난 2008년에 건립됐지만, 정작 화재 참사와 관련한 명칭과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애초 유족 측은 추모공원 설립을 요구했지만 주민 반발로 팔공산집단시설지구 내 시유지에 테마파크를 건립하고 안전 상징 조형물을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이후 유족 측은 마땅한 추모공간이 없다며 테마파크와 조형물을 추모공원과 위령탑으로 바꾸고 추모행사를 요구해왔지만 상인 반발로 갈등을 빚어왔다.
지난 2016년 2·18안전문화재단 출범 이후 유족과 상인의 요구사항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지만 뚜렷한 성과는 없었다. 이에 재단 측은 이날 갈등 타협안으로 시민안전테마파크 명칭 변경에서 '2·18 기념공원' 표현을 함께 쓰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태일 이사장은 "시민안전테마파크의 2·18기념공원 명칭 병기로 어둡고 아픈 경험을 보편적 가치로 승화시켜 대구를 안전과 생명의 도시로 만들어나가야한다"고 했다.
이날 부상자가족대책위원회도 제도 개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2019년 10월 '대구 지하철화재 사고 부상자 의료지원 조례'가 제정되면서 지난해 부상자 116명에게 의료비와 심리치료를 지원했다. 올해 의료비 지원 예산은 1억원, 지원 대상자는 131명이다.
이동우 부상자대책위원장은 "여전히 부상자들은 후유증에 시달리거나 가정이 와해된 상황에 처해있다. 부상자를 장기적으로 지원할 규칙이나 규정을 만들어야 한다. 심리치료도 단순 약물치료가 아닌 정신적 상처를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하다. 생활지원이나 장례비도 현실화시켜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