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정부 첫 검찰 출신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관심이 쏠렸던 신현수 수석이 취임 두 달도 안 돼 사의를 표명했다. 여기에 이진석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이 최근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문 대통령의 '레임덕'이 시작됐다는 관측이 정치권에서 나오고 있다.
17일 청와대 한 고위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검찰 고위급 인사를 둘러싸고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 신 수석이 갈등을 빚다 사의를 표명했다'는 이야기에 대해 "검찰과 법무부 사이에 견해가 달라 조율하는 과정에서 이견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신 수석이 사의를 몇 차례 표시했다"며 "그때마다 대통령께서 만류를 하셨다"고 밝혔다.
이어 '친 조국 인사'로 불리는 이광철 민정비서관이 박 장관과 검찰 인사를 논의하면서 신 수석을 '패싱'한 것 아니냐는 관측에 대해서는 "이번 인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민정수석실 내부에 이견은 없었다. 제 명예를 걸고 사실이 아니라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날 민정수석에 이어 이진석 국정상황실장 사의표명설까지 불거졌다. 국정상황실장은 각종 현안을 시시각각 보고받고 판단하는 청와대의 관제탑 역할을 하는 자리인 만큼 신 수석 사의설에는 "인사와 관련한 사항은 확인해 드릴 수 없다"던 청와대가 이 실장 사의표명에 대해선 대조적으로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빠른 대응에 나섰다.
이번 일을 두고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 임기 말 레임덕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검찰 개혁'에 일조할 줄 알았던 신 수석이 검찰 편에서 일을 처리하려다 박 장관과 충돌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최근 검찰 고위간부 인사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은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교체 등을 요구했지만, 법무부는 이른바 '추미애 라인'을 유지하려는 등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신 수석이 이를 중재하려 했지만, 조율이 끝나기도 전인 7일 박 장관이 이례적으로 일요일에 인사를 발표하며 자기주장을 관철했고, 신 수석이 이에 불만을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다.
신 수석은 지난해 12월 31일 윤 총장 징계 사태를 매듭짓는 차원에서 사의를 표명한 김종호 전 민정수석 후임으로 기용됐다. 문 대통령이 그동안 '비(非)검찰 출신 민정수석' 기조를 고수한 데서 벗어나 발탁 인사를 한 만큼 검찰과 법무부 사이 갈등을 수습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다.
정치권 관계자는 "법무부와 검찰 간 갈등이 언제든 재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일"이라며 "이 실장 사의설도 대통령 측근으로 불리는 자리의 특성상 청와대 내부 분위기를 뒤흔들 우려 탓에 일찌감치 진화에 나섰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