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첫 검찰 출신 청와대 민정수석으로 관심이 쏠렸던 신현수 수석이 취임 두 달도 안 돼 사의를 표명했다. 여기에 이진석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이 최근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문 대통령의 '레임덕'이 시작됐다는 관측이 정치권에서 나오고 있다.
17일 청와대 한 고위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검찰 고위급 인사를 둘러싸고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 신 수석이 갈등을 빚다 사의를 표명했다'는 이야기에 대해 "검찰과 법무부 사이에 견해가 달라 조율하는 과정에서 이견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신 수석이 사의를 몇 차례 표시했다"며 "그때마다 대통령께서 만류를 하셨다"고 밝혔다.
이어 '친 조국 인사'로 불리는 이광철 민정비서관이 박 장관과 검찰 인사를 논의하면서 신 수석을 '패싱'한 것 아니냐는 관측에 대해서는 "이번 인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민정수석실 내부에 이견은 없었다. 제 명예를 걸고 사실이 아니라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날 민정수석에 이어 이진석 국정상황실장 사의표명설까지 불거졌다. 국정상황실장은 각종 현안을 시시각각 보고받고 판단하는 청와대의 관제탑 역할을 하는 자리인 만큼 신 수석 사의설에는 "인사와 관련한 사항은 확인해 드릴 수 없다"던 청와대가 이 실장 사의표명에 대해선 대조적으로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빠른 대응에 나섰다.
이번 일을 두고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 임기 말 레임덕이 현실화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검찰 개혁'에 일조할 줄 알았던 신 수석이 검찰 편에서 일을 처리하려다 박 장관과 충돌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다.
최근 검찰 고위간부 인사에서 윤석열 검찰총장은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교체 등을 요구했지만, 법무부는 이른바 '추미애 라인'을 유지하려는 등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신 수석이 이를 중재하려 했지만, 조율이 끝나기도 전인 7일 박 장관이 이례적으로 일요일에 인사를 발표하며 자기주장을 관철했고, 신 수석이 이에 불만을 드러낸 것이라는 해석이다.
신 수석은 지난해 12월 31일 윤 총장 징계 사태를 매듭짓는 차원에서 사의를 표명한 김종호 전 민정수석 후임으로 기용됐다. 문 대통령이 그동안 '비(非)검찰 출신 민정수석' 기조를 고수한 데서 벗어나 발탁 인사를 한 만큼 검찰과 법무부 사이 갈등을 수습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다.
정치권 관계자는 "법무부와 검찰 간 갈등이 언제든 재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일"이라며 "이 실장 사의설도 대통령 측근으로 불리는 자리의 특성상 청와대 내부 분위기를 뒤흔들 우려 탓에 일찌감치 진화에 나섰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