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대규모 부양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가능성으로 미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고용 지표도 악화됐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9.68포인트(0.38%) 하락한 31,493.3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7.36포인트(0.44%) 내린 3,913.9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00.14포인트(0.72%) 떨어진 13,865.36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은 국채금리 동향과 주요 지표 악화에 출렁였다.
미 정부가 추진하는 대규모 부양책이 인플레이션을 이끌 수 있다는 전망으로 최근 국채 금리가 크게 올랐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1.3% 부근으로 상승했다. 다만 이날은 소폭 반락했다.
물가 지표도 인플레 우려를 부추기는 상황이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1월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1.4% 올라 2012년 3월 이후 9년여 만에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전일 발표된 1월 생산자물가는 2009년 지표 집계 이후 최대 월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금리 상승 우려가 커지면서 기술주와 성장주들이 맥을 못 추고 있다. 고성장 기술기업이 장기 저금리의 혜택을 크게 받았던 만큼 금리 상승의 악영향이 기술주에 집중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고용지표도 지수에 부담을 안겼다.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가 전주보다 1만3천명 늘어난 86만1천명이라고 발표했다. 시장 예상치 77만3천명을 크게 웃도는 결과는 고용 회복에 대한 의문을 남겼다.
이 때문에 애플 등 핵심 기술기업 주가가 이번 주 약세 흐름을 이어가는 중이다. 애플은 전날보다 주당 1.13달러(0.86%) 내린 129.7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테슬라 주가도 떨어졌다. 테슬라는 전날보다 주당 10.77달러(1.35%) 내린 787.38달러를 기록했다. 니오(-5.04%) 등 중국 전기차 업종이 약세를 보인 점도 주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태양광 관련주도 일제히 내렸다. 선파워는 부진한 실적이 발표되면서 주당 7.28달러(16.69%) 급락한 36.3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선파워가 떨어지자 퍼스트솔라(-4.65%) 등 다른 태양광 업체들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월마트도 4분기 수익이 부진한 것으로 나오면서 주당 9.54달러(6.48%) 하락한 137.66달러에 장을 마쳤다. 월마트는 올해 8.6% 성장하겠지만 내년에는 한자리 수 초반 증가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